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인들은 저렇게 해외 놀러다니는데…" 일본인들의 탄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日 매체 "대부분 일본인은 해외 여행 못 가"
엔화 약세로 해외 여행에 인색, 국내도 부담
한국인의 올 여름 해외 여행지 1위는 일본

일본인들이 값비싼 해외여행 대신 국내 여행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현지 매체의 분석이 나왔다. 26일 일본 주간지 '현대비즈니스'는 '대부분의 일본인은 해외여행 못 가게 돼버렸다… 일본이 외면하는 슬픈 현실'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일본인의 여행 선호도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엔화 약세로 인한 비용 부담이 해외여행을 꺼리게 만드는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한국인들은 저렇게 해외 놀러다니는데…" 일본인들의 탄식 일본 츠키지 장외시장이 방문객들로 붐비고 있다.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AD

지난달 일본 관광청이 발표한 올해 1분기 여행·관광 소비 동향 조사에 따르면, 일본인의 국내 여행 소비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8% 증가한 4조 7574억엔(약 41조 540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보다 13.0% 늘어난 액수다. 총 여행자 수는 5038만명으로 조사됐다.


매체는 일본인이 국내 여행에 쓴 돈은 늘었으나, 장기간 여행이 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앞서 일본 여행사 JTB가 2024년 황금연휴(4월 25일~5월 5일) 여행 동향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3.6%가 해당 기간에 귀성을 포함해 ‘1박 이상 여행을 가지 않겠다’고 답했다. 여행을 가지 않는 이유로는 ‘여행 비용이 많이 들어서’ ‘가계에 여유가 없어서’ 등 경제적 이유를 드는 사람의 비율이 늘었다.


일본인들이 해외여행에 인색해지고 있다는 평가도 나왔다. 여행 저널리스트 하시가 히데노리는 매체에 “해외여행을 포기한 사람이 국내 숙박 여행으로, 국내 숙박 여행을 포기한 사람이 당일 여행으로 이동한다”며 “비용을 중시하며 여행 계획을 하향 조정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인들은 저렇게 해외 놀러다니는데…" 일본인들의 탄식 엔화 가치 하락이 지속되면서 엔/달러 환율이 26일 오후 외환시장에서 한때 달러당 160.39엔까지 올랐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해외여행 선호도가 떨어지는 주요 원인으로는 ‘엔화 약세 현상’이 꼽혔다. 코로나19 직전까지만 해도 1달러당 엔화 환율은 100엔 안팎을 유지했으나, 지난해부터 환율이 크게 변동하며 이날 기준 1달러당 엔화 환율은 160엔을 넘어서 엔화 가치가 38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1000달러를 지출하려면 과거에는 10만엔이 필요했지만, 이제 16만엔이 필요한 셈이다.


일본에서 선호하는 해외 관광지의 물가가 치솟고 있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한국 물가는 일본보다 비싼데다, 대만도 일본과 비교해 물가가 저렴한 편이 아니게 됐다. 히로시마현 남부에 위치한 미하라히가시 고등학교는 수학여행으로 대만에 갈 예정이었으나, 1인당 비용이 과거 10만엔에서 최근 15만엔으로 치솟자 여행지를 도쿄로 바꿨다고 한다. 이 지역 30개 고등학교 중 22개가 비슷한 결정을 했다.



반면, 엔저 현상으로 인해 일본을 찾는 한국 여행자들은 늘어나고 있다. 지난 25일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가 전국 20~6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올여름 휴가 계획에 대한 조사 결과, 해외여행을 계획 중인 응답자가 가장 많이 선택한 국가는 일본(37.3%)이었다.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여행 경비와 가까운 거리의 이점으로 인해 일본 여행의 수요는 지속되고 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