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융권 무한 경쟁의 시대, 금융사·정부의 역할은

시계아이콘01분 1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제50회 보험연구원 산학세미나
금융권 경쟁심화 요인과 대응방법 논의

“금융산업이 무한 경쟁의 시대로 가고 있습니다. 금융권 내 칸막이가 무너지는 데다 비금융까지 금융업에 융합되고 있죠. 기업 간 경쟁이 앞으로 강화될 겁니다.”


28일 이병윤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서울 여의도 보험연구원에서 열린 제50회 산학세미나에서 ‘금융환경 변화와 금융산업의 미래 대응 전략’을 주제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금융권 내 경쟁 강화의 이유로 디지털 기술을 꼽았다. “기존에는 은행·보험 등 업권별 칸막이가 뚜렷했다면, 디지털금융·마이데이터 등으로 겸업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플랫폼 안에서 다양한 금융상품을 판매하는 등 금융권 내 칸막이가 사라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금융과 금융은 물론, 금융과 비금융이 융합하는 서비스도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가 나서서 경쟁을 촉진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 선임연구원은 “우리 금융사는 해외 진출에 약하고 내수 기반의 사업구조를 이어온 탓에 국민을 대상으로 이자이익을 낸다며 사회적 불만을 받아 왔다”며 “이에 금융당국이 오픈뱅킹·인터넷전문은행 등을 도입하고,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이나 제4인터넷전문은행 추진 등 경쟁 강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선임연구원은 “경쟁으로 금융소비자는 값싸고 품질 좋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금융데이터 결합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면서도 “경쟁이 심화해 은행의 이자이익이나 보험의 신규 가입이 줄어들며 기존 금융사의 수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익성이 떨어지면 위험자산 투자비중을 늘리는 등 무리하게 되고, 건전성 또한 악화할 여지가 있다”고 언급했다.


금융권 무한 경쟁의 시대, 금융사·정부의 역할은 [이미지출처=보험연구원]
AD

이날 패널토론에 참여한 민세진 동국대 교수는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금융사의 대응과 함께 정부의 대응도 고민하자고 제안했다. 민 교수는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심사위원회에서 활동하면서 포지티브 규제(사전규제)의 한계를 느꼈다”며 “프레임에 갇히면 도저히 혁신적 아이디어가 나올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무원 사회는 소비자 보호를 위해 리스크를 미리 차단해야 한다는 책임감이 있는데, 바람직한 부분도 있겠지만 지금 기존 금융사는 핀테크(금융+기술) 업계가 밀고 들어오는 일에 속수무책이다. 프레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최성일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토론에서 추가적인 금융환경 변화 요인으로 “글로벌 패권경쟁 속 보호무역으로 글로벌 금융환경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언급했다. 그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는 주요 20개국(G20) 회의나 글로벌 금융규제 협의체인 금융안정위원회(FSB) 등으로 금융시스템 안정화를 위해 노력했는데, 지금은 리스크 관리·감독이 점점 국가별 각자도생 영역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보험연구원 산학세미나는 지난 50회 동안 학계·산업계·보험연구원 등에서 60여명의 발표자가 발표하고 160여명의 토론자가 참여했다. 소비자·연금·보험채널·디지털보험·인공지능(AI)·보험금융제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뤘다.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