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갤러리 산책]'AI와 인간' 함께 살 수 있을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57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국립현대미술관 '예측 (불)가능한 세계'
청주 미술품수장센터서 8월25일까지 개최
사회와 문화에 영향 미치는 인공지능 조망

1950년대부터 개발된 인공지능은 최근 몇 년 사이 ‘생성’ 기능이 더해지며 인간을 대체 또는 초월할 가능성을 갖게 됐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기술력과 발전은 우리가 상상에서 그렸던 미래를 앞당기고 있지만, 동시에 환경·노동·데이터 식민주의 등 사회 윤리적 문제 또한 가중하고 있다. 이런 인공지능의 행보를 추적하고, 인공지능이 구축해 가는 인공적 세계의 모습을 펼쳐 보인 전시가 찾아온다.

[갤러리 산책]'AI와 인간' 함께 살 수 있을까 김아영 '딜리버리 댄서의 구', 2022, 단채널 영상, 컬러, 사운드, 25분. [사진제공 = 국립현대미술관]
AD

국립현대미술관(MMCA)은 '예측 (불)가능한 세계'를 8월 25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미술품수장센터(이하 청주관)에서 개최한다.


'예측 (불)가능한 세계'는 청주관의 첫 미디어아트 기획전시로, 오늘날 사회와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을 조망하고 기술과 인간의 공생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기획됐다. 전시는 인공지능을 소재로 한 예술작품들을 통해 생태, 창작, 진화, 시스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오늘날 기술의 의미를 고찰한다. 아울러, 인공지능과 관련하여 우리가 놓치고 있는 문제와 집중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 질문한다. 또한, 인공지능 시대에 대한 동시대 예술가들의 단상을 공유하며 “예측 (불)가능한 세계”를 관람객과 함께 상상하기를 제안한다.


전시에는 김아영, 슬릿스코프, 언메이크랩, 이안 쳉, 제이크 엘위스, 추수, 트레버 페글렌, 히토 슈타이얼, 총 8명(팀)의 작가가 참여했다. 이들은 오늘날 인공지능을 둘러싼 논쟁적 키워드를 작품과 연결해 제시한다. 총 8개의 키워드는 ‘미래와 비미래’, ‘생성과 비생성’, ‘진화와 공진화’, ‘궤도 댄스와 두 개의 눈’ 4개의 섹션으로 선보인다.


‘미래와 비미래’ 섹션은 인공지능의 예측 기술을 중심으로 ‘미래를 예측’하고자 하는 욕망과 그것의 본성을 살펴본다. ‘미래’ 키워드로 제시된 히토 슈타이얼의 '이것은 미래다'(2019)는 인공지능의 예측 알고리즘이 가지는 근시안적 시각의 한계를 내비치며, 예측 알고리즘에 기대어 미래만을 추측하고 현실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인공적 우둔함을 비판한다. ‘비미래’ 키워드에선 언메이크랩의 '비미래를 위한 생태학'(2023)과 '비미래를 위한 신탁'(2023), 그리고 '가정 동물 신드롬'(2023)을 선보인다. 3점의 작품은 인간의 이해 범주와 시각 체계 안에 포섭된 인공지능의 미래 없는 예측'을 담고 있다.

[갤러리 산책]'AI와 인간' 함께 살 수 있을까 히토 슈타이얼 '이것은 미래다', 2019, 비디오 설치, 환경. 울산시립미술관 소장. 사진 홍철기. [사진제공 = 국립현대미술관]

‘생성과 비생성’ 섹션에서는 생성의 기능으로 창작의 역할을 부여받은 생성형 인공지능에 관한 시각을 다룬다. ‘생성’ 키워드에는 추수의 '달리의 에이미'(2024)와 '임산부 에이미'(2024)가 소개된다. 작가는 생성형 인공지능 프로그램 달리 2(DALL·E 2)가 그려낸 에이미를 통해 예술가의 관습적인 창작에서 벗어난 새로운 유형의 예술을 선보인다. ‘비생성’에는 제이크 엘위스의 '더 지지쇼'(2020)와 '지지와 미'(2020)가 전시된다. 작가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인공지능의 기술에 축적된 편견과 소외되는 존재들을 설명한다.


세 번째 섹션인 ‘진화와 공진화’에서는 ‘진화’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인공지능이 영향을 미칠 세계, 그리고 그 속의 우리의 모습을 상상하는 작품들을 선보인다. ‘공진화’ 키워드로 소개된 슬릿스코프의 '시간詩間여행'(2024)은 인공지능 ‘시아’와 참여자가 함께 시를 쓰는 경험을 ‘여행’으로 은유한 작품이다. ‘진화’ 키워드로는 이안 쳉의 작품 'BOB 이후의 삶: 찰리스 연구'(2021-2022)가 소개된다. "인공지능이 나보다 내 삶을 더 잘 살 수 있다면?"이라는 질문에서 시작된 이안 쳉의 작품은 인공지능 시대에 ‘더 나은 삶’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 묻는다.


‘궤도 댄스와 두 개의 눈’ 섹션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오늘날 대두되는 사회적 문제를 조명한다. ‘궤도 댄스’ 키워드를 가진 김아영의 '딜리버리 댄서의 구'(2022)는 배달 플랫폼과 알고리즘으로 인해 통제받는 라이더의 신체와 시간을 시각화하며, 오늘날 플랫폼 노동의 문제를 드러낸다. ‘두 개의 눈’ 키워드로 소개되는 트레버 페글렌은 컴퓨터 시각부터 기계학습 등 다양한 형태의 자동화된 시각 체계를 시각화한 작품 '이미지 연산 작품 10번'(2018)을 선보인다.

[갤러리 산책]'AI와 인간' 함께 살 수 있을까 '예측 (불)가능한 세계' 전시 전경_사진 홍철기. [사진제공 = 국립현대미술관]

이번 전시는 청주관 5층 기획전시실뿐만 아니라 옥외 전시 플랫폼인 ‘미디어 캔버스’에도 참여 작가의 영상 작품 5점을 상영한다. 작품들은 미술관의 안과 밖을 연결하는 매개가 되며, 확장된 형태로 전시를 완성한다.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이번 전시에서 관람객은 서로 연동되는 8개의 키워드와 작품들을 함께 살펴보며 인공지능을 둘러싼 오늘날의 이슈를 고찰해볼 수 있다며, 인공지능의 예측 가능성이나 불가능성의 이야기보다는 인공지능이란 기술에 대한 우리의 태도와 사유를 다시 점검하고, 새로운 상상 위에서 기술과의 공생 방식을 고민해 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