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터뷰]"국내 풍력 밸류체인 고사할수도…활성화방안 찾아야" 이상일 풍력에너지학회장[C테크나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해상풍력발전단지 하루빨리 구축해
국내 기업들에게 참여 기회 줘야"

[인터뷰]"국내 풍력 밸류체인 고사할수도…활성화방안 찾아야" 이상일 풍력에너지학회장[C테크나우] 이상일 한국풍력에너지학회장(군산대 교수)
AD

"해외 기업이 국내 풍력 산업에 진출하면 빠르게 다양한 밸류체인(가치사슬)을 활성화할 수 있지만 일부 경쟁 관계인 국내 풍력 밸류체인은 고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상일 한국풍력에너지학회(군산대학교 교수) 회장은 지난 12일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유럽, 중국 기업들의 국내 풍력 산업 진출로 인해 국내 풍력 산업이 붕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해상풍력은 국내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구축에도 용이하다. 이런 가운데 우리보다 먼저 풍력 산업이 발달한 유럽과 중국 기업들이 국내 여러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아직 절대 강자가 없는 국내 해상풍력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해양 플랜트 산업이 발달해 있어 이들과 연계할 경우 빠르게 한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


이 교수는 자본력과 기술력을 갖춘 해외 기업이 국내에 진출하면 초기에는 국내 일부 밸류 체인을 활용하기 때문에 해상 풍력 산업이 활성화하는 것처럼 보이겠지만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할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국내 풍력 산업 기반이 무너지고 나면 결국 해외 기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지난해 정부가 폐지한 국산화비율반영제도(Local Content Requirements·LCR)를 복원할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 교수는 "해상 풍력을 주요 산업으로 성장시키려고 하는 일부 국가들은 여전히 현지화 규정(LCR)을 시행 중"이라며 "LCR을 복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LCR을 폐지하려면 국내 풍력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이제 걷기 시작하는 아이에게 어른들과 경쟁하라고 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해상 풍력 산업의 경쟁력은 해외와 비교해 3~5년 정도 격차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터빈의 경우 해외 기업은 15㎿ 용량까지 상용화하고 있는 반면 국내 기업은 8㎿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 교수는 국내 풍력 발전 시스템의 용량이 해외에 비해 적지만 극복하지 못할 수준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풍력 발전 시스템의 개발 경험이 풍부하기 때문에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 구축을 통해 규모의 경제에 참여할 기회를 얻게 된다면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중요한 것은 해상풍력발전단지를 하루빨리 구축해 참여의 기회를 주는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국내 많은 부품 업체들이 국산 해상풍력 시스템 개발에 참여했으나 공기업이 추진하는 사업을 제외하면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교수는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 개발을 위해 원스톱 인허가 시스템을 시급히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인허가 절차가 복잡하고 업무가 여러 부처로 나누어져 있다 보니 신속한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예를 들어 군 작전 구역은 일반 사업자가 얻기 어려운 정보인데 인허가 과정에서 국방부로부터 부적격 판정을 받으면 어떤 협의도 불가능하고 사업을 추진할 수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국내 기업들 스스로의 노력도 필요하다. 이 교수는 "개별 기업으로 대응하기보다는 밸류체인들 간 컨소시엄을 구성해 대규모 해상 풍력 발전 단지를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기업들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해상 풍력 발전에서는 균등화발전단가(LCOE)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그동안 풍력단지 개발사은 발전용량이 작고 LCOE가 높은 국산 풍력 시스템보다는 용량이 큰 외국 모델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LCOE는 설비투자비용(CAPEX)과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OPEX)으로 구성된다. CAPEX와 달리 OPEX는 정확한 비용 산출이 어렵다. 20~30년간 해상풍력발전 단지를 운영해본 경험이 없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해외 초대형 풍력 발전 시스템은 CAPEX 측면에서 유리하겠지만 해외 제품 또한 트렉 레코드(track record)가 부족한 상황으로 OPEX 부분에서 예측이 어려울 것"이라며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국내 기업의 구체적인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