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철도 지하화 속도전… 오세훈 "새 도시공간 창출될 것"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뉴스듣기 글자크기

정부·지자체 등 참여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협의회 출범식' 개최
서울시, '미래형 거점공간' 및 '열린공간' 통한 경쟁력 강화 예고
철도지하화로 인한 주변지역 개발 기본구상 내부 논의에도 착수
시내 지상철도 국철구간 6개 노선 총 71.6km에 대한 사업성 검토

지상 철도를 지하화해 상층부를 활용하겠다는 정부의 '철도 지하화 사업'이 본격화됐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연구기관 등으로 구성된 협의회가 출범돼 선도사업지 선정을 위한 작업에 착수한다. 사업지가 가장 많이 포함될 서울시의 경우 이미 상부개발안 논의에 나섰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4일 오후 용산구 일대에서 진행하는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협의회 출범식'에 참석한다. 협의회는 지상철도를 지하화하고 철도로 단절된 도심을 혁신적으로 재창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철도 지하화 속도전… 오세훈 "새 도시공간 창출될 것"
AD

정부 차원에서는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 수립에 착수한 상태다. 대상 사업 선정 기준, 상부 개발 방향, 재원 조달 방안 등을 담은 사실상의 최상위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는 국내 철도 부지 현황이나 국내외 철도 지하화 사례를 검토해 노선 선정을 위한 평가 기준이 마련된다.


대상 노선은 지자체가 제안한 노선과 정부가 추진 중인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 일부 구간이다. 특히 서울시의 경우 경부선과 경인선을 비롯한 6개 국철(71.6㎞) 구간이 대상지로 논의되고 있어 역할이 가장 크다. 선제 대응에도 나섰다. 철도 지하화 사업을 기성 시가지의 토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선정, 지난달 서울시 전체 지상철도 국철구간 등 주변 지역에 대한 개발 가능성을 살펴보기 시작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대상지는 경부, 경인, 경원, 경의, 중앙, 경춘선 등 6개 국철(71.6㎞) 구간으로, 도시철도구간 29.6㎞ 4개 노선(2·3·4·7호선) 등도 검토될 가능성이 있다. 이중 핵심 구간은 서울역과 용산역 사이다. 서울시는 현재 철도 지하화로 슬럼가인 13구와 센 강변을 잇는 인공지반을 조성해 도시 활력을 되찾은 '파리 리브고슈 프로젝트' 등 국내외 사례를 참고하고 있다.


상반기 중에는 전체 철도 구간의 공간계획을 수립하고 오는 9월 국토교통부에 먼저 추진할 사업을 제안할 예정이다. 키를 쥐고 있는 국토부가 '사전 준비가 잘 돼 있는 지자체와 먼저 손을 잡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만큼 사업성 분석은 물론, 상부 개발에 대한 구체적 방향까지 빠르게 마련해 국토부와 협의를 하겠다는 것으로 읽힌다.



개별 자치구들 역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서울역과 용산역 구간을 소유하고 있는 용산구 외에도 영등포구(대방역~신도림역 3.4㎞ 경부선 지상 구간 일대), 구로구(구로역~온수역 5.6㎞ 등) 등이 철도 지하화 사업으로 인한 상층부 개발안 논의를 준비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역단절, 도심 내 가용지 부족, 소음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택인 만큼 정부 사업에 단계적으로 대응하고 사업성을 높이는 방향을 계속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