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부, 소부장 특화단지에 5년간 5067억원 투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정부, 올해 첫 소부장 경쟁력위원회 개최
소부장 핵심전략기술에 우주항공·방산·수소 추가

정부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에 5년간 5067억원을 투자해 소부장 기술 혁신과 공급망의 핵심 기지로 육성한다. 또한 소부장 핵심 전략 기술에 우주ㆍ항공, 방산, 수소 분야를 신설해 기존 150대 기술을 200대 기술로 확대한다.


정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올해 첫 소부장 경쟁력 강화위원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의 '소부장 특화단지 맞춤형 지원방안' 등 7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특화단지별로 충북 바이오 특화단지는 해외 의존도가 높은 바이오 배지 등 바이오 소부장에 대한 수요·공급기업 공동 연구개발(R&D) 지원과 함께, 바이오 의약품 소재ㆍ부품 실증지원센터도 구축해 미국 FDA, EUEMA 등 글로벌 규격 공인시험 분석 지원까지 일괄 추진하기로 했다.


대구 모터 특화단지의 경우 전기차용 희토 영구자석 순환 생산시스템을 위한 R&D와 함께 '모터 성능인증 지원센터'를 구축한다. 광주 자율주행 특화단지는 자율주행차 인지·제어·통신 통합제어시스템을 개발하고,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와 연계한 국제 인증·신뢰성 장비를 구축한다.


부산 전력반도체 특화단지의 경우 8인치 SiC 전력반도체 제조·패키지센터를 설립하고, 1700V급 고전압용 전력반도체 소자 등 기술개발을 진행하게 된다. 안성 반도체 장비 특화단지는 반도체 연마 장비인 CMP 장비 핵심기술 개발에 집중 투자한다.


정부는 특화단지별로 인력양성, 규제 개선 등도 병행할 계획이다.


안성 특화단지는 폴리텍대학 내 반도체 장비 실증센터를 구축하고, 대구 특화단지에는 모빌리티 대학을 설립한다. 광주 특화단지는 자율주행 시범운행 지구 지정을 추진하고, 오송 특화단지는 입주기업과 규제기관이 협력하는 지원단을 운영해 규제 개선과 함께 R&D 단계부터 인허가 컨설팅을 제공한다.


정부는 소부장 특화단지 R&D에 2318억원을 투자하는 등 5년간 총 5067억원을 지원해 소부장 특화단지 기업의 6조7000원 투자를 뒷받침할 계획이다. 또한 특화단지 전용 펀드 투자, 37개 공공연구기관에 특화단지 전용 기술지원 트랙 신설, 입주기업 수출지원사업 우대 등을 통해 특화단지의 기술 혁신과 생산 확대를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날 소부장 핵심 전략기술을 150대 기술에서 200대 기술로 확대하는 소부장 핵심 전략기술 개편안도 의결했다. 기존 반도체, 디스플레이, 바이오 등 7개 분야에 우주·항공(20개), 방산(2개), 수소(18개) 등 3개 분야를 신설하고 40개 기술을 지정했다.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기술도 기존 5개에서 원료의약품, 기능성 소재, 초고속·대량생산 공정장비 등의 기술을 추가 지정해 19개 기술로 확대했다.


정부는 7건의 소재·부품·장비 협력·상생 모델도 의결하고, 5년간 약 1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올해 처음으로 해외 수요기업과 국내 소부장 기업 간 글로벌 협력모델 2건도 승인했다. 이에 따라 독일 기업과 차량용 통신·보안 시스템반도체 협력, 미국 기업과 생분해성 합성섬유 소재 협력이 추진된다.



정부는 산업부가 지난 해 12월 산업 공급망 3050전략에서 발표한 '185개 소부장 공급망안정품목 선정안', 소재개발 디지털화 촉진을 위한 '소재 연구데이터 활용 생태계 구축전략' '바이오 소부장 기술개발 로드맵'도 의결했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