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멕시코' 공급망 재편 가속…폭스콘, 멕시코서 AI 서버 생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폭스콘, 멕시코서 AI 서버 생산
美 아마존·구글·MS·엔비디아 등 공급

대만 폭스콘이 멕시코에서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확대한다. 반도체, AI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미·중 경쟁이 가열되면서 미국 주요 기업들이 협력사에 생산기지를 중국에서 멕시코로 이전하라고 요구하면서다. 미국의 대 중국 견제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니어쇼어링(인접국으로 생산기지)' 전략을 강화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中→멕시코' 공급망 재편 가속…폭스콘, 멕시코서 AI 서버 생산
AD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폭스콘은 지난 2월 멕시코 서부 잘리스코주 토지를 2700만달러(약 360억원)에 매입했다.


지난 4년간 멕시코에 6억9000만달러(약 9300억원)를 투자한 폭스콘은 이 부지에 공장을 건설해 AI 서버 생산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멕시코에서 생산된 폭스콘의 AI 서버는 미국 기업인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에 공급될 것으로 전해졌다.


폭스콘뿐만 아니라 다른 대만 주요 기업들 역시 미국 기업들의 요구를 반영해 멕시코 투자를 확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델, 휴렛팩커드(HP)도 주요 협력사에 서버, 클라우드 컴퓨팅 생산과 관련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동남아, 멕시코로 사업장을 이전할 것을 요청했다. 두 기업은 중국에 종속된 공급망을 다각화하고 싶다는 뜻을 협력사에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대만 기업들이 탈중국, 멕시코행을 택하면서 현재 멕시코에 진출한 대만 기업은 300곳, 고용 인원은 7만명에 이른다. 대만·멕시코 간 교역 규모는 150억달러(약 20조2000억원) 수준이다.


기업들이 멕시코로 눈을 돌리는 것은 세계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과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인건비 부담은 낮아서다. 무엇보다도 미국이 미국·멕시코·캐나다 간 자유무역협정(USMCA)에 기반해 멕시코에 낮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 수출의 교두보로서 최적의 지역으로 꼽힌다. 반면 그동안 아시아 제조공장 역할을 해 왔던 중국의 경우 공급망 다각화를 꾀하려는 미국의 집중적인 견제를 받고 있다.


WSJ는 지난 2020년 USMCA 발효 이후 "중국에서 멕시코로 생산기지를 이전한 기업들은 수십억달러를 멕시코에 투자했다"며 "AI는 미·중 긴장이 고조되면서 멕시코가 점점 더 많은 역할을 맡고 있는 첨단 제조 분야 중 하나"라고 전했다.


현재 아시아, 유럽, 미국 등 주요 제조사들은 멕시코로 공장을 이전하는 추세다. 자동차가 가장 대표적인 분야로, 멕시코는 세계 5위 자동사 수출국으로 변모했다. 테슬라를 포함한 전기차 업체들이 멕시코 공장 신설을 검토하고 있고, 대만 기업들도 멕시코 중남부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앞으로 AI, 반도체 등 첨단기술 분야로 확산될 전망이다. 최근 미 국무부는 반도체 생태계 확대 및 다변화를 위해 멕시코와 협력하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미국 수입에서 멕시코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3.9%로 2015년 21.5%에서 하락했다. 같은 기간 멕시코는 2%포인트 상승한 15.4%를 기록해 미국 수입국 1위 자리를 꿰찼다.



대만 대외무역개발위원회의 제임스 황 위원장은 "북미 국가들은 아시아에서 수입된 제품을 가능한 많이 대체하길 희망한다"며 "멕시코는 USMCA의 가장 중요한 제조기지가 될 준비가 됐다"고 평가했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