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임원 보수 너무 많아" 제동 건 국민연금…주총 반대율 2배 '껑충'

시계아이콘01분 1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임원 보수안 반대, 28.6→54.5% '2배'
보수액 스스로 줄이는 기업도 속속 등장
이사선임·정관변경은 작년보다 반대율 감소

12월 결산 상장법인의 주주총회가 한창인 가운데 국내 최대 기관투자가인 국민연금이 지난해와 비교해 임원 보수안과 관련된 반대 의결권 행사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보수금액이 경영성과에 비해 과도하다'는 이유다. 전체 비율로 보면 반대가 찬성보다 더 많은 수준이다.

보수안 반대율, 1년만에 2배 '껑충'
"임원 보수 너무 많아" 제동 건 국민연금…주총 반대율 2배 '껑충'
AD

24일 현재 이달 들어 국민연금이 의결권 행사계획을 공개한 기업을 전수조사 해보니 55개 기업 가운데 30개의 임원(이사·감사) 보수안에 '반대'를 결정했다. 나머지 25개는 '찬성'을 결정했다. 반대율이 과반인 54.5%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분석한 2023년 같은 안건에 대한 반대율(28.6%)의 2배에 가깝다. 아직 공개하지 않은 의결권 행사계획이 많이 남아있음을 고려하더라도 지난해와 비교해 반대율이 껑충 뛰었다.


임원 보수안을 반대한 기업은 대부분 2023년 영업이익이 2022년에 비해 줄어든 '역성장' 기업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보수안 반대 결정을 내린 KT의 경우 지난해 1조6498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1년 전의 1조6901억원에 비해 2.4% 감소했다. 또 다른 반대 기업인 KT&G 역시 영업이익 규모가 2022년 1조2676억원에서 2023년 1조1679억원으로 7.9% 줄었다. 반면 보수안을 찬성하기로 한 기업들은 대부분 영업이익이 성장한 곳이었다.


국민연금의 반대로 보수안이 실제 부결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다. 특수관계인 지분이 높은 한국 기업 특성상 '오너가'의 의사에 따라 안건이 통과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국민연금의 견제 메시지가 의미 없는 것은 아니다. "기업 사정과 비교해 임원의 보수가 과도하다"는 목소리에 힘을 보태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런 여론을 의식한 듯 이번 주총에서는 스스로 보수 한도를 축소하고 나선 기업도 나타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사 보수 한도를 지난해 480억원에서 430억원으로, SK는 220억원에서 180억원으로 줄였다. LG도 180억원에서 170억원으로 축소했다.

이사 선임·정관 변경은 예년 수준

국민연금은 다른 주요 안건에 대해서는 예년과 비슷한 행보를 보인다. 이사와 감사 등 임원 선임에 대해서는 260건 중 21건에 대해 반대 결정을 했다. 반대율은 8.1%다. 지난해(10.3%)보다 오히려 소폭 줄어든 수준이다. 올해 주총에서 가장 관심이 쏠렸던 장인화 포스코 회장 선임안과 방경만 KT&G 사장 선임에 대해서는 모두 찬성 결정을 했다. 반면 25일 현재까지 행동주의 펀드의 주주제안에 찬성하는 의견을 낸 적은 없다. 이변은 없었던 셈이다. 정관변경 안건의 반대율은 11.1%로, 역시 지난해(16.2%)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국민연금은 2018년 스튜어드십 코드(기관투자가의 의결권 행사 지침) 도입 이후 반대 의결권 행사 비중을 점차 늘려오다가 지난해 감소로 전환했다. CEO스코어에 따르면 모든 안건을 통틀어 국민연금의 주주총회 안건 반대율은 2020년 11.2%, 2021년 11.4%, 2022년 15.3%에서 지난해 13.8%로 감소했다. 전반적인 반대율 하락 추세에서 유독 임원 보수 관련 안건에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는 셈이다.




오유교 기자 562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