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국 인문대학 학장들 "'무전공 모집' 중단해야…인기학과 쏠림 심화할 것"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기초 학문 붕괴 우려

전국국공립대학교 인문대학장협의회(국인협)와 전국사립대학교 인문대학장협의회(사인협)는 교육부가 추진하는 '무전공 모집'에 대해 "일부 인기학과 쏠림 현상을 심화시키고 기초 학문을 붕괴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24일 강창우 서울대 인문대학장은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입장 발표회에서 "교육부는 학생들이 적성과 흥미에 맞는 전공을 찾아 선택하도록 무전공 모집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현재와 같이 전공 선택에서 소수 인기 학과로의 쏠림 현상이 극심하게 나타나는 상황에서 대다수 학생은 결국 시류에 따라 인기 학과를 선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 교육부의 당초 취지가 구현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이어 "학문의 다양성은 학문 발전의 전제이며 국가 발전의 초석임에도 현재 우리나라의 학문 생태계는 병들어가고 있다"며 "대책 없이 무전공 모집 제도를 도입한다면 이미 건강한 상태가 아닌 우리나라의 학문 생태계는 더 많이 무너질 것이 자명하다"고 덧붙였다.


전국 인문대학 학장들 "'무전공 모집' 중단해야…인기학과 쏠림 심화할 것" 강창우 서울대 인문대학장(오른쪽 첫번째) 및 국인협, 사인협 교수들이 24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입장문 발표회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이서희 기자]
AD

제도 추진 과정에서의 미흡함도 지적했다. 강 교수는 "학생 모집 제도에 개선할 부분이 있다면, 먼저 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의견 수렴, 그리고 예상되는 부작용에 대한 대책 수립이 먼저 이뤄져야 하며, 무전공 모집 학생들을 위한 제도 수립과 인프라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며 "그러나 교육부는 1월 하순에 접어든 지금까지 구체적인 추진 계획도 부작용에 대한 대책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대학들은 곧 무전공 모집을 포함한 입시 요강을 발표해야 하는데, 이렇게 중요한 변화를 어떻게 1년도 제대로 준비하지 않고 추진할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교육부가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그는 "대학혁신지원사업 개편안 시안에 따르면, 대학혁신지원사업은 대학이 수립한 자율혁신계획을 통해 양질의 대학 교육 및 미래 인재 양성 추진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며 "대학의 자율성은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만큼 대학의 혁신 계획도 각 대학의 교육 이념과 특성에 맞춰 자율적으로 수립하고 추진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말했다.


이어 "각 대학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무전공 모집 비율을 획일적으로 정해 추진하는 교육부의 무전공 모집안은 교육적으로도 매우 부적절하다"며 "교육부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무전공 모집 계획을 즉시 중단하고, 모집 단위를 비롯한 학사 제도의 수립과 운영을 대학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자리에는 강 교수를 비롯해 유성호 한양대 인문과학대학장, 목정수 서울시립대 인문대학장 등이 참석했다.



교육부가 최근 마련한 시안에 따르면 수도권 대학과 거점 국립대 등은 2025학년도부터 무전공 선발을 확대해야 정부로부터 인센티브 사업비를 받을 수 있다. 서울대, 연세대, 한양대 등 서울지역 주요 대학은 2025년도 신입생부터 '무전공' 또는 '자유전공'으로 신입생을 선발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서희 기자 daw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