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확정
정부가 2030년까지 첨단 로봇의 국산화율을 80%까지 높이기로 했다. 로봇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의 융합 인재 1만5000명도 육성한다. 이를 통해 국내 로봇 산업 규모를 2030년까지 20조원 이상으로 키운다는 복안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열린 로봇산업정책심의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제4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2024~2028)'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 계획은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에 따라 산업부가 5년 단위로 수립·시행하는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발표한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의 구체적인 청사진이기도 하다.
정부는 기술·인력·기업의 3대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내외 시장을 확대해 2021년 기준 5조6000억원 수준인 국내 로봇 산업의 규모를 2030년까지 20조원 이상으로 키운다는 목표다. 로봇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능형로봇법을 전면 개정하고 시장 진입 규제도 낮추기로 했다.
우선 정부는 감속기, 서보모터, 그리퍼 센서, 제어기 등 5대 핵심 부품의 기술 자립화율을 2021년 기준 44%에서 2030년 80%까지 높이기 위해 기술 개발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는 업계 수요, 전문가 그룹 검토 등을 거쳐 올해 기업 주도의 '첨단 로봇 연구개발(R&D) 로드맵'을 마련해 30개 이상의 세부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로봇 핵심 인력을 1만5000명 이상 확보하기 위해 로봇대학원을 중심으로 로봇 융합 과정을 개설하고 산학 프로젝트를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구미에 있는 로봇직업혁센터 외에 추가로 1곳의 로봇실무인력양성센터도 신설한다. 제조·서비스 로봇, 핵심 부품 등 3대 분야의 첨단 로봇 전문 기업을 한 해 평균 20개 이상 발굴하는 등 로봇 전문 기업 150개를 육성하는 계획도 포함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첨단로봇 100만 대를 보급하기 위해 전 부처의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정부는 기술 진보와 산업 변화에 맞춰 현행 지능형로봇법 체계를 정비해 올해 내에 입법을 추진한다. 또 실외 이동 로봇의 보도·공원 통행, 배송사업 허용 등 20개 과제를 완료하는 등 연내 51개 규제를 집중 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로봇 기업이 국내 시장에서 충분한 트랙 레코드를 쌓아 해외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 간 협력 채널을 확대하고 홍보, 네트워킹, 해외 인증 등도 적극 지원한다.
로봇과의 공존을 위해 로봇 친화적 기반 시설(인프라) 구축도 추진한다. 로봇이 올바른 방향으로 개발·활용되도록 로봇윤리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개발 단계의 로봇이 안정성, 신뢰성 등 검증을 거쳐 신속한 사업화로 이어지도록 약 2000억 원을 투자해 '국가 로봇 테스트 필드'도 구축한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