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30년 청정메탄올 50만톤 생산, 메탄배출 30% 감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59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2050 탄소중립녹생성장위' 전체회의
무역장벽으로 등장한 글로벌 환경규제
주력산업 경쟁력 우려…"친환경 시급"
환경 데이터로 디지털 탄소중립 고도화

정부가 2030년까지 청정메탄올 50만톤을 생산한다. 주요국의 환경규제가 무역장벽으로 대두되면서 친환경 연료로의 대체가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꼽히던 메탄 배출은 30% 이상 감축한다. 이를 통해 녹색산업을 육성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23일 서울 마포구 누리꿈 스퀘어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5차 전체회의를 진행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정부 방안을 심의·의결했다. 방안은 탄소중립 달성 촉진, 주력산업의 경쟁력 확보, 친환경 에너지 전환대응 등이 골자다.


2030년 청정메탄올 50만톤 생산, 메탄배출 30% 감축
AD

이날 통과된 ‘청정메탄올 신산업 창출 추진전략’에 따르면 정부는 2030년까지 청정메탄올을 50만톤 생산하고 관련 녹색신산업을 육성한다. 청정메탄올이란 바이오매스, 바이오에너지, 재생에너지, 탄소포집·활용(CCUS), 청정수소 등을 활용해 만드는 연료로, 탄소배출량이 거의 없는 저탄소 연료로 인정받고 있다.


청정메탄올 생산에 나선 배경에는 강화된 글로벌 환경규제가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지난 7월 ‘2023 온실가스 감축전략’을 채택하고 2050년에 국제해운 부문에서 탄소중립(넷제로)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제도(CBAM)도 무역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 대체를 서두르지 않으면 조선, 해운, 자동차 등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해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탄녹위 관계자는 “지금 조선업이 LNG 선박을 수주받아서 호황을 누리고 있는데 환경규제로 인해 청정메탄올 선박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한국은 청정메탄올 선박을 세계 최초로 만들었음에도 정작 청정메탄올 생산량이 0이라서 시운전도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청정메탄올 생산은) 아주 시급하고 중대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우선 생산여건 개선을 위해 수소·탄소원 등 원료 물질을 확보하고 기술확보 및 기자재 국산화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한다. 과잉 생산된 재생에너지로 수전해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바이오자원 활용방식을 개선해 경제성 있는 수소를 확보할 방침이다. 음식물쓰레기나 가축분뇨 등을 바이오가스로 바꾸는 시설을 늘리고, 철강과 시멘트 산업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포집과 활용도 추진한다.


또 청정메탄올 수요를 확보하기 위해 품질기준을 마련하고 저탄소제품 인증을 지원한다. 변화가 시급한 해운분야에서는 친환경선박 전환유도용 보조금도 지급할 방침이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에는 청정메탄올을 포함시켜 민간 투자를 유도하고, 초기 경제성 확보는 지역활성화 투자펀드로 물꼬를 튼다. 실제 생산은 2027년 태백 장성광업소 일원에서 연 2만2000톤 시범사업으로 시작한다.


디지털 탄소중립 고도화…공공부문이 모범 보인다

반면 기존의 메탄배출은 2030년까지 2020년 대비 30% 이상 감축한다. 메탄은 대기 중 체류시간이 짧으나 온실효과는 이산화탄소의 28배로, 지구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집중적인 감축이 필요하다. 2020년 한국의 메탄 배출량은 2740만톤CO2eq으로 국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4.2%를 차지한다.


감축은 메탄 배출이 많은 산업에서 집중적으로 이뤄진다. 농축산 부문에서 발생하는 메탄 감축을 위해 체계적인 논물관리 방법을 확산하고, 저메탄 사료 보급과 가축분뇨 정화처리 비율을 확대한다. 폐기물의 경우 음식물쓰레기 저감과 매립지 메탄 회수 및 바이오가스화를 추진한다. 메탄감축 R&D와 국제협력사업도 기존보다 확대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디지털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촉진 방안’도 의결됐다. 에너지 효율화나 탄소 배출량의 추적·관찰에 필수적인 디지털 기술을 산업과 일상에 접목하는 게 핵심이다. 정부는 공공과 민간이 탄소감축에 쉽게 나설 수 있도록 ‘그린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한다. 탄소중립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한 뒤 민간에 개방하고, 탄소배출 측정·보고·검증 지원플랫폼을 개발한다. 온실가스 공간정보지도, 건물에너지 통합관리 시스템 등의 플랫폼 고도화도 진행한다.


다만 디지털 전환과정에서도 탄소배출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고효율·저전력 방식을 채택했다. 대상은 데이터센터와 네트워크다. 데이터센터 에너지 저감을 위해 컴퓨팅 소재·부품·장비를 고효율화하고, 냉각·공조 및 전력 설비와 같은 기반시설은 저전력화한다. 네트워크 역시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


공공부문도 탄소중립 고도화에 모범을 보인다. 건물과 차량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37% 감축하고, 장기적으로는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 기존 목표보다 5%포인트 높은 수준으로 “도전적인 목표”라는 게 탄녹위 측 설명이다.



공공건축물은 그린 리모델링으로 에너지 성능을 강화하고, 정부나 지자체가 소유한 유휴공간에서는 민간자본을 유치해 재생에너지 생산에 쓸 계획이다. 기관별로 감축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정부업무평가 시 인센티브 체계도 개편한다. 이 밖에도 전기차 충전시설 확대와 공공선박의 친환경 선박 전환, 녹색제품 의무구매 대상 기관 확대에 나선다.




세종=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