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경협 "韓 AI 인재 수 부족 심각…컨트롤타워 구축 필요"

시계아이콘01분 0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국의 인공지능(AI) 전문 인재가 2551명으로 전 세계의 0.5%에 불과해 글로벌 AI 강국인 미국·중국의 인재 양성 및 영입 전략을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경협 "韓 AI 인재 수 부족 심각…컨트롤타워 구축 필요"
AD

20일 한국경제인협회는 박동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에 의뢰한 '한미중 인공지능 인재 확보 전략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AI 분야 전문 인재수가 전 세계의 0.5% 수준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AI 전문 연구기관인 엘리먼트 AI가 발표한 '2020 글로벌 AI 인재보고'를 인용해 한국이 보유한 AI 인재 수 2551명은 조사 대상 세계 30개국 가운데 22위에 해당된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AI 전문 인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1위는 AI 분야 우수 대학·연구기관, 기업이 가장 많은 나라인 미국이다. 전 세계의 AI 인재 39.4%(18만8300명)가 미국에 집중돼 있다. 2위는 인도(7만6213명·15.9%), 3위는 영국(3만5401명·7.4%), 4위는 중국(2만2191명·4.6%)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AI 인재 양성을 위해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미국은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AI 기술발전전략을 담당하고, 교육부가 AI 기초학문인 컴퓨터 과학 및 STEM 교육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 중국도 국무원이 국가차원의 AI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교육부가 인재 양성 실행계획을 추진한다. 반면 한국은 교육부, 과기부, 산업부, 고용부가 각각 정책을 추진하고, 시도교육청도 산발적으로 사업을 한다.


초중고 AI 교육에서 교육시수 확대 및 교사 확보를 추진하고 이를 위한 국가투자 확대도 주문했다. 한국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2018년부터 의무화했는데 초등 5~6학년 17시간, 중학교 3년 34시간, 고등학교는 '선택'으로 운영해 교육이 형식적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보고서는 AI 인재 확보를 위해 해외인재 영입 정책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 AI 인재들이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등으로 유출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민간 차원에서 높은 급여, 매력적인 연구 환경 등을 제공해 인재 영입에 힘써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추광호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산업본부장은 “산업계에서는 AI 인재의 양적 부족에 더해 질적 미스매치 해소가 시급하다”며, “우수한 전문 강사를 많이 확보하고, 초중고 단계별로 심화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 AI 기초교육을 질적으로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