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주기 혈액암 연구”… ‘백혈병 초정밀 바이오연구단’ 학술 세미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UNIST·의정부을지대병원 등 15기관 참여

지난해 2월 연구단 출범, 산·학·연·병 협력

백혈병 초정밀 바이오연구단이 혈액암 진단·치료 기술 세미나가 지난 27일 오후 3시 UNIST에서 열렸다.


이 연구단은 UNIST와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이 전주기적 백혈병 연구개발을 위해 지난해 2월 출범시킨 산·학·연·병 네트워크 연구단체이다.


이번 세미나는 연구단 소속 대학, 병원, 기업, 연구기관 등이 모여 혈액암 분야 관련 최신 기술과 동향을 공유하고 차세대 혈액암 연구 분야를 추가로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주기 혈액암 연구”… ‘백혈병 초정밀 바이오연구단’ 학술 세미나 지난 27일 UNIST에서 열린 백혈병 초정밀 바이오 연구단의 학술세미나에 참석한 산학연병 관계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AD

이재용 UNIST 부총장은 환영사에서 “올해 학술세미나가 작년보다 더 많은 관심 속에서 다양한 주제가 공유되는 자리가 됐다”며 “세미나를 통한 기술 교류가 혈액암 치료를 위한 핵심 기술 개발로 이어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세미나에서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디지털 의료 기술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을지대병원 김동욱 교수와 에스케이텔레콤 이정용 팀장, 테라젠바이오 박찬희 박사가 각각 ‘혈액암 빅데이터 플랫폼과 인공지능 개발’, ‘빅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환경 기반 오믹스 데이터 분석 플랫폼’ 등 주제로 발표했다.


옵토레인 이도영 대표, 이뮤노포지 안성민 대표, GC 녹십자재단 한성희 센터장은 게놈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정밀 진단과 표적항암제 치료 기술을 공개했다.


이들은 각각 ‘초정밀진단법 디지털 피씨알(PCR)’, ‘혈액암 표적항암제 전임상 신약 개발’, ‘혈액암 검사와 정밀진단’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UNIST 생명과학과 이창욱 교수는 ‘바이오 기초 연구’라는 주제로 바이오메디컬 산업 분야 기초 연구의 역할 등을 소개했다.


이번 행사는 UNIST와 의정부을지대병원 외에도 동아대학교병원, 대웅제약, 일양약품, 한국노바티스, 녹십자의료재단, 에스케이텔레콤, 한국비엠에스제약, 옵토레인, 이뮤노포지, 테라젠바이오, 파로스아이바이오, 한국오츠카, 서울씨알오(CRO), 코리아메디케어 등 13개 기관이 참여했다.


행사를 참관한 안효대 울산시 경제부시장은 “울산시는 전국 최초로 ‘만명 게놈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정밀의료 산업의 기틀을 마련해 왔다”고 힘줬다.


안 부시장은 이어 “게놈 데이터와 분석 노하우가 연구단에서 추진 중인 백혈병 치료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백혈병 초정밀 바이오연구단은 UNIST 백혈병연구소 김홍태 교수와 만성골수성백혈병 분야의 세계 권위자인 의정부을지대병원 김동욱 교수가 이끌고 있다.


이들은 만성골수성백혈병의 급성기 진행 원인 유전자 발굴, 표적항암제 저항성 연관 유전자 기능 규명 등의 정밀의료 분야에서 굵직한 성과를 배출했다. 또 기술 사업화도 적극적으로 지원해 왔다.



의정부을지대병원 김동욱 교수는 “국내 최초 산학연병의 협업연구체계를 갖추며 출범한 ‘백혈병초정밀바이오연구단’이 혈액암 분야에서 많은 글로벌바이오기업의 탄생을 이끄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