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야옹이 밥 줘라 마라' 전국서 갈등…온 동네 길고양이 어찌하리오?

시계아이콘01분 4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서울시 길고양이 관련 민원수 3년 간 230건
길고양이 돌보는 '케어테이커' 불만 게시글 多
"케어테이커, 주민 불편 오히려 줄일 수"

지난달 말 경기도 모 대학교 커뮤니티 앱 ‘에브리타임’에는 길고양이에게 밥을 주거나 거주공간을 설치하고 돌봐주는 케어테이커(caretaker), 이른바 '캣맘' 혹은 '캣대디' 동아리를 해체해달라는 게시글이 올라왔다. 이 게시글에 갑론을박이 벌어지면서 70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이는 길고양이를 돌보는 '케어테이커'를 두고 벌어지는 찬반 갈등의 한 사례이다. 길고양이 돌봄 논란은 전국에서 벌어지고 있다. 충남 천안시는 지난달 국내 최초로 길고양이 조례 개정에 나섰지만, 찬반 논란이 이어지면서 보류됐다.


'야옹이 밥 줘라 마라' 전국서 갈등…온 동네 길고양이 어찌하리오? 고양이집 위에서 쉬고 있는 길고양이/사진=독자제공
AD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길고양이 관련으로 서울시에 접수된 민원은 2020년부터 2022년 10월까지 총 230건이었다. 2020년에는 62건, 2021년 88건, 2022년은 1월부터 10월까지 80건으로 집계됐다. 이 수치는 시에서 처리한 민원만 집계된 것이며 구청에 직접 넣거나 시에서 구청으로 이첩된 민원은 집계에서 빠져 있다. 따라서 실제 길고양이 관련 민원은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3년간 서울시에 접수된 길고양이 관련 민원은 주로 시·구청 차원에서 설치·관리하는 '급식소' 관련이 79건을 차지했다. 그 다음은 중성화가 76건, 새끼 고양이 구제, 긴급 구호 등 '보호' 관련 41건, 케어테이커들이 임의로 만드는 '밥자리'와 그 외 길고양이 소음, 배변 등으로 인한 '불편' 민원이 각각 17건 등이었다.


길고양이 관련 인터넷 게시물 중에는 '케어테이커'와 관련한 불만이 많았다. 개체 수 증가, 소음·배변 등 일상생활 불편이었다. 이러한 갈등은 현실에서도 나타난다. 서울 강남구의 한 아파트 관리사무소는 단지 내 길고양이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이달 7일까지 제시해달라는 공고문을 게시했다. 공고문에는 ▲입주민 안전사고 재발 방지 방안 ▲지하주차장 피해 재발 방지 방안(차량 훼손, 배변) ▲길고양이 소음 피해 재발 방지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받는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제출하지 않을 시 이주 방사 등의 방안을 고려하겠다고 관리사무소는 밝혔다.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현재 의견을 수렴해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길고양이는 전국적인 고민거리다. 충남 천안시의회는 지난달 25일 전국 최초로 '길고양이 보호 및 관리 조례안'을 발의했다. 길고양이 보호·관리 계획을 3년마다 수립·시행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이 조례안은 지난 13일 시의회 안건으로 상정됐지만, 찬반 대립이 거세지면서 보류됐다. 조례안 발의 이후 지난달 28일부터 이날까지 천안시의회 자유게시판에 '고양이'를 주제로 쓴 찬반 게시물 1841건이 올라왔다. 복아영 천안시의원은 "11월 마지막 회기에 조례안 재상정을 고민하고 있다"며 "'케어테이커'들과 지역 주민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시청이나 시의회에서 개입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야옹이 밥 줘라 마라' 전국서 갈등…온 동네 길고양이 어찌하리오? 서울 성동구 서울숲에서 고양이가 목을 축이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동물권 보호 시민단체는 케어테이커 활동에 대한 오해가 많다고 설명한다. 길고양이에게 정해진 공간에서 먹이를 공급하면서 돌보면 개체 수 증가, 배변·소음 등 민원 발생이 감소한다는 주장이다. 최민경 카라 정책변화팀장은 "급식소 등 먹이를 공급하는 고정된 장소가 없으면 그 지역의 고양이를 중성화하기 위한 포획 자체가 어렵다"며 "소음 민원 중에는 발정기 울음소리가 가장 많은데, 이야말로 중성화로 해결 가능한 문제"라고 말했다. 실제로 서울시의 길고양이 개체 수는 2019년 11만6019마리에서 2021년 9만889마리까지 줄어들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개체 수 감소에는 중성화 사업 등 여러 상황이 함께 작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동물단체는 케어테이커도 일정한 원칙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최 팀장은 "차량 밑에 사료를 놓거나 사람이 먹는 음식을 제공하는 것, 비고정적인 장소에서 급식하는 행위 등은 지양해야 한다"며 "동물단체도 주민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된 급식소를 중심으로 길고양이를 깨끗하게 관리하도록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자체 차원의 갈등 해소 노력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원복 한국동물보호연합 대표는 "케어테이커들이 단순히 고양이 사료만 공급하는데 그치는 게 아니라 개체 수 조절도 병행하도록 하는 등 지자체에서 지침을 만들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