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별 인지율 격차나기도
우리나라 성인 2명 중 1명은 제때 대처를 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르는 심근경색증의 조기증상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이 17일 발표한 지자체별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은 47.1%로 조사됐다. 전국 심근경색 조기증상 인지율은 2017년(46.5%) 처음 집계 후 2019년 56.9%까지 올랐지만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부터 다시 하락 추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심근경색증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갑자기 막히면서 심정지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다. 초기 사망률이 무려 30%에 달한다.
다만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으면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돼 환자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급성 심근경색의 경우 가슴 통증 후 60~90분 이내 재관류 치료를 받아야 예후가 좋다.
심근경색증 조기증상의 파악 여부가 생사를 가를 수밖에 없는 이유다. 갑자기 가슴에 심한 통증, 압박감이 나타나거나 턱·목·등 부위에 심한 통증, 답답함이 나타날 때 심근경색증 조기증상을 의심해야 한다. 숨이 많이 차거나 팔, 어깨에 통증이나 불편함이 이어질 때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심근경색 조기증상 인지율은 제주가 62.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가장 가장 낮은 지역은 광주로 40.3%로 집계됐다. 질병청은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이 낮은 지역이 사망률이 높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면서도 “인지율이 높을수록 응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인지율이 낮은 지자체들은 이를 높이기 위한 교육·홍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의료의 접근성이 낮은 지역일수록 심근경색증으로인한 사망을 예방하기 위해 조기증상을 미리 알아두고, 증상이 의심되면 최대한 빨리 병원에 방문해 적절한 평가와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병원 이동 중에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119 구급차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한편 질병청은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 등과 관련해 전북 무주군, 강원도 태백시 등 지자체와 함께 지역의 심층조사 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