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결혼 안 해요, 집도 혼수도 없거든요" MZ의 결혼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결혼 긍정적" 10년 전 57%
지난해에 36%로 '뚝' 떨어져
가장 큰 이유는 "결혼자금 부족"

청년들이 '결혼'에 얽매이지 않는 양상이 더욱 두드러져 가고 있다.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이 세 명 중 한 명으로 줄어든 반면, 비혼 상태로 동거하는 커플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안 해요, 집도 혼수도 없거든요" MZ의 결혼관 결혼과 출산율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가운데, 점점 더 청년들이 '결혼'에 얽매이지 않는 양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출처=연합뉴스]
AD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 변화'에 따르면, 결혼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지난해 5월 기준 36.4%로 집계됐다. 10년 전 56.5%로 조사됐던 2012년보다 20.1%포인트(p)나 감소한 것이다.


이는 전체 인구 중 결혼에 긍정적인 인구 비율인 50.0%보다 13.6%P 낮은 수준이다. 결혼에 긍정적인 청년의 비중은 여자 28.0%, 남자 43.8%로 각각 10년 전보다 각각 18.9%P, 22.3%P 낮아졌다.


연령별로는 19∼24세 34.0%, 25∼29세 36.1%, 30∼34세 39.2% 등이다. 통상 결혼 적령기로 꼽히는 30대 초반에서도 결혼에 긍정적인 응답이 과반에 못 미친 것이다.


결혼하지 않는 이유 1위 '결혼자금 부족'
"결혼 안 해요, 집도 혼수도 없거든요" MZ의 결혼관 얼마전 종료한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 '2억9천'은 대한민국 평균 결혼 비용 2억 9000만원의 상금을 쟁취하기 위해 나선 열 커플의 치열한 경쟁을 담은 프로그램이다. [사진제공=tvN]

청년들이 과거와 달리 결혼에 부정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청년들은 '결혼하지 않는 사람들이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결혼자금 부족(33.7%)을 가장 많이 꼽았다. (33.7%) 이어 결혼 필요성을 못 느낌(17.3%), 출산·양육 부담(11.0%), 고용 상태 불안정(10.2%), 결혼 상대 못 만남(9.7%) 등의 순이었다.


결혼 자금 부족을 이유로 꼽은 이들의 비중은 여성(26.4%)보다 남성(40.9%)에서 높았다. 남녀가 결혼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청년의 비중은 80.9%로 10년 전보다 19.1%P 높아졌다.


청년 절반 이상은 결혼하더라도 자녀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다. 이 비율은 2018년 46.4%, 2020년 50.5%, 작년 53.5% 등으로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자신과 부모와의 관계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청년과 전반적인 가족관계에 만족한다고 한 청년은 '결혼 후 자녀를 가져야 한다'고 응답한 비중이 각각 57.6%, 57.1%로 전체 청년 집단(46.5%)보다 높았다.


이유가 있으면 이혼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24.1%로 10년 전보다 11%P 상승했다. 비혼 출산에 동의하는 청년 비중은 10년 전보다 9.8%P 올라 지난해 39.6%를 기록했다.


입양 의사가 있는 청년 비중은 31.5%로 10년 전보다 20.5%P 감소했다. 입양하고 싶지 않은 이유는 '입양의 필요성을 못 느껴서'(43.1%), '친자녀처럼 양육할 수 있을지 걱정돼서'(37.6%) 등이었다.


국제결혼에 대해서는 청년의 83.3%가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10년 전보다 긍정 비율이 9.5%P 높아졌다.

직장 고를 땐 가장 중요한 것은 '수입'
"결혼 안 해요, 집도 혼수도 없거든요" MZ의 결혼관 청년 절반 이상은 결혼하더라도 자녀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다. 이 비율은 2018년 46.4%, 2020년 50.5%, 작년 53.5% 등으로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출처=연합뉴스]

청년들이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하 2021년 기준)은 수입(35.8%), 안정성(22.1%), 적성·흥미(19.1%), 근무 환경(9.8%) 순이었다.


다만, 19∼24세 청년은 25∼34세 청년과 달리 안정성(19.9%)보다 적성·흥미(24.2%)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선호 직장은 2011년에는 국가기관(27.7%), 대기업(19.6%), 공기업(19.3%) 순이었으나 2021년에는 공기업(23.2%), 국가기관(20.8%), 대기업(20.2%)으로 바뀌었다. 공무원보다 공기업 인기가 더 좋아졌다.

"결혼 안 해요, 집도 혼수도 없거든요" MZ의 결혼관 청년들이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하 2021년 기준)은 수입(35.8%), 안정성(22.1%), 적성·흥미(19.1%), 근무 환경(9.8%) 순이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청년들은 남녀 모두 육아 부담(46.3%)을 여성 취업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여겼다. 다음은 사회적 편견(18.5%), 불평등한 근로 여건(13.8%) 순이었다.


여성이 출산·자녀 성장과 상관없이 계속 취업 상태를 유지하기를 원하는 청년의 비중은 74.0%로 10년 전(53.2%)보다 20.8%P 높아졌다.


청년 절반 이상(54.8%)은 가까운 미래에 직장을 잃거나 직장을 바꿔야 한다는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다만 이 비율은 10년 전보다 8.0%P 떨어졌다.



한편 자식이 부모를 부양해야 할 의무가 없다는 인식도 강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가족이 부모님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20.6%로 10년 전보다 12.6%P 줄었다. 60.7%는 가족·사회·정부가 함께 부모님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했고, 15%는 부모님이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고 봤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