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문체부, K-관광 마케팅 다변화…獨·印·印尼서 '수요 증진 총력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국방문의 해, 방한 관광시장 다변화 총력
수교 기념국 대상 마케팅, 총 12만명 집결 예상

정부가 '2023 한국방문의 해'를 맞아 수교 기념국을 중심으로 한국관광 마케팅 총력전을 펼친다

문체부, K-관광 마케팅 다변화…獨·印·印尼서 '수요 증진 총력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2023 프랑크푸르트 한류박람회'에서 관객들이 개막 공연을 즐기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수교 기념 국가인 인도, 독일, 인도네시아에서 총 12만명 대상으로 한국관광 마케팅에 나선다고 28일 밝혔다.


문체부는 올해 수교 50주년을 맞이한 인도에서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중상류층 밀집 거주지역인 뉴델리와 구르가온을 중심으로 '2023 한국관광 페스티벌'을 개최했다. 이 축제엔 현지 한류 팬 5만여 명이 운집했다.


2023 해외 한류 실태조사에 따르면 인도는 2023년 기준 인구 약 14억명을 보유한 세계 1위 인구 대국으로 2024년에 해외관광지출(420억달러, 약 56조원)이 2019년 대비 1.8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핵심 성장 시장이다.


특히, 2022년 기준 한국 문화콘텐츠 인기도와 소비 비중 등 모든 핵심지표 순위에서 상위 5위 안에 등재되는 등 한류 인기도가 높아 이를 기반으로 한 방한 관광시장 성장 가능성이 큰 국가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인도 최대 여행사인 토마스쿡(Thomas Cook) 등과 함께 K-컬처를 활용한 방한 관광상품을 집중 마케팅했다.


특히, 롯데와 이니스프리 등 국내 브랜드가 함께한 K-푸드, K-뷰티 연계 프로그램 등이 현장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인도 채식 인구를 겨냥한 봉은사 사찰음식문화연구소장 우관스님의 사찰음식 시연회도 높은 관심을 받았다.


문체부, K-관광 마케팅 다변화…獨·印·印尼서 '수요 증진 총력전' 사찰음식 전문가 우관스님이 뉴욕 CIA 요리학교에서 요리 실습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제공 = 문화체육관광부]

수교 140주년을 맞이한 독일에서는 25일부터 27일까지 프랑크푸르트 최대 문화예술축제 '2023 박물관강변축제'와 연계헤 '2023 한국 문화관광대전'을 개최하고 약 5만명 소비자를 대상으로 MZ세대 맞춤형 마케팅을 진행했다.


독일은 유럽 1위의 경제 대국으로 지난해 세계 아웃바운드 관광(내국인 해외관광) 지출 규모 3위의 중요 시장이다. 코로나 팬데믹 독일의 해외여행객 최대 송출 규모는 약 1억800만명(2018년 기준)에 달해 향후 유럽 방한 관광객 확대를 위해 집중이 필요한 전략 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독일 예비 대학생들이 고등학교 졸업 후 적성과 흥미를 찾기 위해 '갭이어'(Gap Year) 기간을 갖는 현지 문화를 겨냥해 국제학생증(ISIC) 전담여행사 등과 함께 현지 선호를 반영한 방한 관광상품을 집중 홍보했다.


또한, 문체부는 수교 50주년을 맞이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오는 31일부터 다음 달 10일까지 '2023 한국 문화관광대축제'를 열고 소비자 약 2만여 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방한관광상품 판촉에 나선다.


인도네시아는 2023년 세계 4위(약 2억8000만명)의 인구 대국이자 2019년 방한 규모 9위에 해당하는 동남아 핵심 성장 시장이다. 2022년 한국 문화콘텐츠 브랜드파워 지수가 전 세계 1위에 달했으며 해외 최초 한류 종합상설홍보관 ‘코리아(KOREA) 360’이 설치되었을 정도로 한류 관심도가 높은 지역이다.


이번 행사에서는 한류 관심도를 실질적인 방한 성과로 이어가기 위해 국내외 7개 항공사, 현지 국책은행 만디리 은행(Mandiri Bank) 등과 함께 대대적인 할인 혜택을 마련해 인도네시아의 방한관광상품 판매 실적 상위 10대 모객사를 통해 대규모 방한관광상품 판촉전을 진행한다.



박종택 문체부 관광정책국장은 "방한관광시장 다변화는 안정적인 관광수요를 확보하고 관광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수"라며 "2023 한국방문의 해를 계기로 동남아와 구미주 등 중·장거리 시장을 대상으로 공세적인 마케팅을 진행해 방한관광시장의 질적 도약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