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野, 혁신안 놓고 당내 계파갈등 심화…“무리수” vs “포용해야” 충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이재명 "당내 논의 거쳐 합당한 결론"
고민정 "혁신위, 민생 시급성 없는데 무리수"
서은숙 "조직 혁신할 때 반대와 저항 목소리 나와"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가 대의원제를 사실상 무력화하는 내용을 담은 혁신안을 발표하면서, 혁신안 수용 문제를 둘러싸고 당내 계파 갈등이 심화되는 모습이다.


野, 혁신안 놓고 당내 계파갈등 심화…“무리수” vs “포용해야” 충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1일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AD

혁신안을 둘러싼 갈등 양상은 공개 회의 석상에서 그대로 드러났다.


고민정 민주당 최고위원은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혁신위의 3차 혁신안 발표에 대해 “이재명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총사퇴하지 않는 한 내년 총선 이후에 전당대회가 치러지게 될 텐데 지금 앞당길 시급성이 무엇이냐”라며 “국민이 선출해야 할 총선에 영향 미치는 것도 아니고 민생 시급성 다투는 것도 아닌 일로 지도부 선출을 위해 이런 무리수 둬야 하는 이유를 찾기 어렵다”고 반발했다.


고 최고위원은 공천룰 변경에 대해서도 “민주당은 매번 선거를 앞두고 각종 잡음에 시달렸고, 그래서 이해찬 전 대표는 공천 부작용 등을 방지하기 위해 총선 1년 전 공천룰 전당원 투표로 확정하게 특별당규에 규정했다”라며 “그런데 혁신위는 민주당 공천 시스템을 완전히 무시하는 발표를 한 셈”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반면 서은숙 최고위원은 “낡은 것을 바꾸거나 고쳐서 새롭게 한다는 것이 혁신의 사전적 의미”라며 “모든 사람을 만족하는 혁신은 존재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서 최고위원은 "단체나 조직을 혁신할 때 반대와 저항의 목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다"며 "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혁신을 거부하는 것은 자기 스스로 낡은 사람으로 만드는 길이란 걸 자각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혁신안 논의에 대해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그는 이날 최고위가 끝난 뒤 기자들에게 “혁신안은 혁신위의 제안이라서 당내 논의 거쳐서 합당한 결과를 만들어내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혁신안 논란의 일차적 분수령은 오는 16일 의원총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강선우 민주당 대변인은 “대의원제와 공천룰 변경 관련 등 핵심적인 혁신안 내용은 지도부가 따로 토론해서 긴 시간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라며 “혁신안은 당무이기 때문에 의총에서 주제로 다뤄지진 않을 것이지만 의원들께서 이와 관련된 자유발언과 토론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강 대변인은 이어 “(28일에) 예정된 워크샵에서도 다양한 목소리가 있을 것 같다”라며 “다만 (혁신안은) 의원들끼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사안이 아닌 만큼 우선 혁신안 관련해 다양한 의견을 듣는 절차가 진행돼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대의원제·공천룰 개정 등 당헌과 당규를 수정해야 하는 사안은 당무위원회, 중앙위원회, 전 당원 투표 등 과정을 거쳐야 한다.



혁신위는 전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당 조직 개편과 총선 ‘공천 규칙’ 변경을 골자로 하는 3차 혁신안을 발표했다. 혁신안에는 당대표와 최고위원 투표 반영 비율을 '권리당원 1인 1표 투표 70%, 국민여론조사 30%'로 변경할 것을 제안하는 내용이 담겼다. 현재 민주당 당헌·당규의 전국대의원대회(전당대회) 투표 반영 비율은 권리당원 40%, 대의원 30%, 여론조사 25%, 일반당원 5%로 되어 있다.




류태민 기자 righ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