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콕!건강]자궁절제술 받은 여성, 뇌졸중 조심해야 하는 이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폐경 이전 자궁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경우,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병권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김병규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심장내과 교수·육진성 산부인과 교수팀은 최근 한국 여성의 조기 자궁절제술과 심혈관질환 위험 연관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논문은 미국의학협회저널 ‘JAMA Network Open’에 게재됐다.


[콕!건강]자궁절제술 받은 여성, 뇌졸중 조심해야 하는 이유 왼쪽부터 이병권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김병규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심장내과 교수·육진성 산부인과 교수
AD

전 세계 여성의 36%가 경험하는 심뇌혈관질환은 여성 사망률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폐경 이후의 여성은 심혈관질환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월경이 중단되면서 헤마토크리트 수치(적혈구의 용적률)와 저장 철분 수치가 증가해 혈액의 점도가 높아지고 끈끈해지기 때문이다. 이는 적혈구 응집에 의한 혈전 형성으로 동맥경화증을 일으킬 수 있다.


연구팀은 월경이 ‘정기적 사혈’ 효과를 일으켜 가임기 여성의 심뇌혈관 질환 보호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 조기 폐경이 발생하는 또다른 요인인 외과적 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여성의 심혈관질환 발생률을 비교 분석했다. 40~49세 여성 13만5575명을 대상으로 2011년 1월1일부터 2014년 12월31일까지 자궁절제술 그룹과 자궁비절제술 그룹 5만5539쌍을 각각 평가했다. 이 참가자들은 2020년 12월31일까지 추적 관찰됐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보건의료 데이터를 바탕으로 했다.


이들을 약 8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심뇌혈관질환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1년에 자궁절제술 그룹에서 115건, 자궁비절제술 그룹에서 96건이었다. 자궁절제술 그룹의 심뇌혈관 질환 위험이 약 25%가량 더 높았던 것이다. 심근경색 및 관상동맥 재관류술의 발생률은 그룹 간에 비슷했으나, 뇌졸중 위험은 자궁절제술 그룹에서 약 30%가량 더 높았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45세였다.



[콕!건강]자궁절제술 받은 여성, 뇌졸중 조심해야 하는 이유

이병권 교수는 “이 연구는 월경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여성의 심뇌혈관 질환의 보호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월경이 멈추면서 혈액 흐름의 특성, 즉 혈유변학적 변화가 일어나게 돼 심혈관질환의 발생이 높아지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는 여성뿐 아니라 정기적 헌혈을 유지하고 있는 성인들이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률이 훨씬 적다는 이전의 연구와도 궤를 같이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기적 헌혈이 혈유변학적 인자의 위험성을 낮춘다는 대규모 추가 연구가 뒷받침된다면, 헌혈을 통해 심뇌혈관 질환 위험을 줄이는 것은 물론 전세계적 혈액 부족 사태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