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코스피, 外人 대량 매도에 2610선 턱걸이 마감…'네 마녀의 날' 영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삼성전자, 장중 7만원도 위태

코스피, 外人 대량 매도에 2610선 턱걸이 마감…'네 마녀의 날' 영향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코스피지수가 8일 외국인투자자들의 대량 매도세에 2610선에서 턱걸이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장대비 0.18%(4.75 포인트) 밀린 2610.85에 장을 마쳤다. 코스피가 전 거래일 종가 대비 하락마감한 것은 지난 1일 이후 4거래일만이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대비 0.24%(6.39 포인트) 내린 2609.21에 개장한 뒤 장중 2595.33까지 밀리며 한 때 2600선이 무너지기도 했다.


이날 지수하락을 이끈건 외국인들이다. 외국인투자자는 3924억원치 주식을 순매도 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기관과 개인은 각각 3165억원, 675억원치 순매수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0.1원 내린 1,303.7원에 종가를 형성했다.


국내 증시는 7일(현지시간) 캐나다 중앙은행(BOC)의 깜짝 금리 인상에 투자자들의 긴축 우려가 재부상하며,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된 영향을 받았다.


특히 최근 코스피 상승을 주도한 투자 주체인 외국인이 이날로 3거래일 연속 매도세를 보여 지수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다.


다만 외국인은 국내 증시 대장주 삼성전자에 대해 최근 2거래일간 이어진 매도세를 멈추고 이날 160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이날은 주가지수와 개별주식의 선물·옵션 만기가 겹치는 '네 마녀의 날'로, 수급 변동성이 확대되며 장 마감 직전 증시가 출렁이기도 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캐나다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대한 불안 심리가 유입되며 미국 증시가 하락한 점이 국내 증시에도 부담을 줬다"며 "다만 선물옵션 만기일에 따른 수급 변동성 확대에 장 막판 외국인 선물 매수가 늘어나며 지수 낙폭이 일부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SK하이닉스(1.57%), 삼성전자우(0.17%), 현대차(0.15%)를 제외한 전 종목이 하락 마감했다. 장중 7만원까지 떨어지며 ‘7만전자’를 위협받았던 삼성전자는 0.14% 내린 7만9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밖에LG에너지솔루션(-2.15%), 삼성바이오로직스(-0.13%), LG화학(-1.21%), 삼성SDI(-0.82%),NAVER(02.20%), POSCO홀딩스(-0.13%) 등도 하락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운수창고(1.58%), 보험(1.41%), 기계(1.14%), 유통업(1.10%), 건설업(0.34%) 등은 상승마감한 반면 서비스업(-0.91%), 섬유의복(-0.40%), 의약품(-0.36%), 전기전자(-0.35%), 종이목재(-0.33%), 화학(-0.27%) 등은 하락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는 전장대비 0.52%(4.59 포인트) 밀린 876.13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0.21%(1.86포인트) 내린 878.86에 출발한 뒤 약세권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331억원, 203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한 것으로 집계됐다. 개인은 홀로 2570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종목 역시 혼조세로 마감했다. JYP Ent.(0.63%), 카카오게임즈(0.63%)는 상승한 반면 에코프로비엠(-0.93%), 에코프로(-0.60%), 셀트리온헬스케어(-2.30%), 엘앤에프(-3.76%), 셀트리온제약(-2.46%), 펄어비스(-0.20%) 등이다. HLB오스템임플란트는 보합마감했다.


업종별로는 의료정밀기기(0.93%), 컴퓨터서비스(0.50%), 식음료담배(0.49%), 섬유의류(-.46%), 반도체(0.44%) 등은 상승 마감한 반면 소프트웨어(-1.48%), 일반전기전자(-1.32%), 유통(-1.30%), 기타제조(-0.94%) 등은 하락 마감했다.



이날 하루 동안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11조2594억원, 8조8556억원으로 집계됐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