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진상조사위, 진압작전 재구성·분석 결과 발표
1980년 5월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최소 20곳에서 50여회 발포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이를 현장 지도로 재현하고 있다.
5·18조사위는 16일 5·18민주화운동 당시 광주, 전남지역의 계엄군 진압작전을 재구성하고 총상에 의한 사망자와 부상자들을 지도상에 표기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계엄군의 발포는 1980년 5월 19일 오후 4시50분께 광주고등학교 앞에서 시작해 20일 오후 11시께 광주역 인근 발포로 이어졌다. 이어 21일 11공수와 7공수가 배치된 전남도청 일원뿐만 아니라 3공수가 배치된 전남대 일원에서 비슷한 시간대에 이뤄졌다.
그밖에 조선대 앞, 학동, 지원동, 송암동 등 계엄군이 배치된 대부분 작전지역에서 발포와 그에 따른 피해가 있었음을 5·18조사위는 확인했다.
총상에 의한 사망자는 총 135명, 총상을 입은 부상자는 최소 300명 이상(병원진료 기록 및 보상심의서류에 근거)으로 조사됐고 많은 피해자가 두부 및 흉부 등의 치명적 부위에 총격당했다는 게 조사위의 설명이다.
조사위는 계엄군의 발포와 관련해 세 가지를 중요한 사항으로 판단했다.
먼저 1980년 5월 21일 오후 1시께 시위대의 화염병 투척 및 장갑차 돌진 후 이뤄진 계엄군의 집단 발포 이전에 이미 일부 병력에 실탄이 분배됐다는 사실이다. 이는 당시 현장에 있던 계엄군의 진술과 현장 사진 등으로 확인했다. 특히 장갑차 기관총 사수로부터 장갑차 기관총에도 하루 전인 20일부터 실탄이 장착돼 있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두 번째로 당시 대대장의 체험수기와 1995년 검찰 진술, 그리고 현장 취재기자들의 증언을 통해 도청 앞 집단 발포 상황에서 공수부대가 흩어져 횡대로 ‘앉아 쏴’와 ‘서서 쏴’ 자세로 동시에 여러 곳에서 사격했음을 확인했다. 저격수를 전남도청 인근의 주요 건물(전남도청 본관이나 민원실, 수협 도지부, 전일빌딩 등)에 배치한 후 시민들을 향해 발포했고 이 조준 사격으로 인해 여러 명의 시민이 사망한 사실도 확인했다.
세 번째로 20일 광주역 발포, 21일 도청 앞 발포에 따른 사상자가 다수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엄군 현장 지휘관은 물론 계엄사령부도 발포 현장을 엄격히 통제하지 않았으며 그에 따라 총상 피해자는 더욱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호남취재본부 윤자민 기자 yjm30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