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동구에 거주하는 박모씨(52)는 등산 후 잠을 잘 수 없을 정도의 무릎 통증이 찾아왔다. 병원을 찾아 받은 진단은 퇴행성 무릎관절염. 경직된 근육과 인대가 충분히 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활동량이 갑자기 늘어나 무릎 관절 연골에 무리가 온 것이다.
갑작스러운 운동이나 야외활동, 등산 시 충분한 준비운동 없이 무리하게 야외활동을 하게 되면 무릎 관절의 연골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김준호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산행이나 운동 후에 무릎이 붓고 통증이 있다면 연골 손상 혹은 퇴행성 무릎관절염이 원인일 수도 있기에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의 대표적 증상은 무릎이 아프고 붓는 것이다. 앉거나 일어설 때, 평지를 걸을 때, 계단을 오르내릴 때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거나 무릎 움직임이 마음대로 되지 않기도 한다. 초기에는 계단을 이용하거나 앉아있다가 갑자기 일어날 때 약간의 통증만 느끼다가 무리하지 않고 쉬면 증상이 줄어들기도 한다. 중기로 접어들면 연골조직이 손상되면서 통증이 심해지고 오래 걸었을 때 무릎이 붓는다.
만약 이런 증상을 방치해서 악화가 되면 걸어 다닐 때 심한 통증으로 걷는 것이 힘들 수 있다. 움직이지 않아도 통증이 심해 고통을 호소하거나 다리 모양도 변형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O자형 다리로 휘어지는 변형은 퇴행성 관절염이 진행되면서 발생하기도 하는데, 악화요인은 좌식 생활, 무릎 꿇는 자세, 산행 등이다.
증상이 심해져 일상생활이 힘들어지는 통증이나 강직이 있거나 병원의 약물치료 등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만성화된 무릎 염증, 무릎의 변형이 심하다면 수술이 필요하다. 약물을 매일 복용해야 할 정도의 통증이라면 수술이 필요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에서는 환자의 나이와 체중, 신체활동이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노화와 관련성이 크다. 이밖에 성별, 나이, 유전적 요소, 비만, 생활 습관, 운동과 같은 신체활동 등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다양하다. 여성의 경우 폐경기 이후 골밀도가 낮아져 골다공증이 동반된 경우가 그 예이다.
퇴행성 무릎관절염 관리를 위해서는 체중감량, 운동, 안 좋은 자세 피하기를 생활화해야 한다. 본인 체중의 7% 이상 감량 시 무릎 통증이 개선된다. 저녁 6시 이후의 음식 섭취는 되도록 적게 하고, 수영이나 평지 빠르게 걷기 등 하체 근력 강화 운동이 권장된다. 자전거를 탄다면 안장 높이를 최대한 높게 해 무릎의 굴곡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고 양반다리나 쪼그려 앉기 등 자세를 피해야 한다. 계단 오르기나 등산, 비탈길 다니기 등도 최대한 피하는 것이 좋다.
<퇴행성 무릎관절염 증상 체크리스트>
- 간단한 동작에도 무릎이 무겁고 관절이 어긋나는 느낌이다.
- 오랜 시간 한 자세로 앉아있거나 서 있으면 무릎이 아프다.
- 앉았다 일어날 때 무릎이 잘 펴지지 않고 삐걱 소리가 난다.
- 주로 저녁 또는 운동 후 무릎이 부어 있고 열이 나면서 아프다.
- 자고 일어났을 때 관절이 뻣뻣하게 굳어 있다.
- 무릎은 물론 엉덩이, 고관절, 발, 척추 등 체중이 실리는 부위가 아프다.
- 계단을 오르내리기 힘들고 똑바로 앉는 자세를 취하기가 어렵다.
※ 한 항목에라도 해당이 되고 증상이 지속된다면 진료를 권유함.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