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모바일 상품권 절반 이상 유효기간 3개월…“개선 필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국소비자원, 유통실태 조사 결과

모바일 상품권 절반 이상 유효기간 3개월…“개선 필요” 상품권 유효기간 현황. (사진제공=한국소비자원)
AD

최근 모바일 상품권 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유효기간이 짧아 사용이 제한되는 등 소비자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5일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10월 1∼13일 주요 14개 온라인몰에서 판매되는 215개 물품형 모바일 상품권 유통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유효기간이 짧아 상품권 사용에 제한이 있고 상품가격이 인상되면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 8개월간(2019년 1월∼지난해 8월) 접수된 물품형 상품권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162건이었다. 피해 유형별로는 유효기간 경과로 인해 상품권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94건(58.0%)으로 가장 많았다. 현금이 아닌 포인트로 환급하는 등 환급제한이 22건(13.6%), 품절·가격 인상을 이유로 추가 요금을 요구하는 사용제한이 15건(9.3%)이었다.


신유형 상품권 표준약관은 소비자의 상품권 사용 편의를 위해 일부 예외 사유를 제외하고 유효기간을 원칙적으로 1년 이상으로 정하도록 했다. 그러나 조사 결과 유효기간 1년 미만 단기 상품권이 134개(62.3%)로 가장 많았고 1년이 64개(29.8%)로 뒤를 이었다. 1년 미만 단기 상품권 종류는 커피, 치킨, 햄버거 등으로 표준약관이 예외 사유에 해당하지 않음에도 유효기간이 3개월(119개·55.3%) 또는 1개월(9개·4.2%) 등으로 짧았다. 유효기간 연장 가능 여부는 179개가 가능하다고 표시했지만 22개는 연장이 불가능하다고 안내했다. 14개는 관련 정보를 표시하지 않았다.


표준약관은 제공할 때 원재료 가격 상승 등 어떤 이유로도 소비자에게 추가대금을 요구할 수 없도록 한다. 그러나 브랜드사(83개사) 기준으로 상품권을 조사한 결과 제품 가격이 오를 경우에도 추가 요금을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고 한 곳은 3개사(3.6%)에 불과했다. 58개사는 추가 요금 발생 여부에 대해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았고, 11개사는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고 표시했다.


상품권 발행사(13개사)를 기준으로 환불 정책 표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카카오는 품절 등으로 교환이 불가능하면 대금 전액 환불이 가능하다는 내용을 모든 상품권에 표시했다. 반면 12개 발행사는 제품 교환이 불가능한 경우 환불 여부 표시를 하지 않거나 동일 가격 이상으로 교환이 가능하다고 표시하는 등 같은 발행사 상품권이라도 온라인몰·상품권별 표시가 달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상품권 발행사에 ▲ 상품권 유효기간 1년 이상으로 확대 ▲ 품절 또는 가격 상승 시 구매액 전액 환불 ▲ 상품권 지급보증 여부 표시 등을 권고할 예정이다.




임춘한 기자 cho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