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조폭 출신이 마약·범죄 ‘썰’ 풀고 ‘혐오 콘텐츠’ 퍼뜨리고 … 슈퍼챗이 뭐길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조직폭력배 생활 등 자극적 소재에도 콘텐츠 심의 사각지대
국내 슈퍼챗 상위 채널들, 혐오·차별적 표현 적극 활용

조폭 출신이 마약·범죄 ‘썰’ 풀고 ‘혐오 콘텐츠’ 퍼뜨리고 … 슈퍼챗이 뭐길래 자극적인 콘텐츠와 혐오 콘텐츠로 막대한 수익을 벌어들이는 유튜버들에 대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픽사베이 [이미지출처=픽사베이]
AD

[아시아경제 김정완 기자] 자신의 범죄 경력을 무용담인 것처럼 자랑하는 조직폭력배 출신 유튜버, 혐오·선동 콘텐츠로 수익 상위권을 지키고 있는 유튜버…. 이렇게 자극적인 콘텐츠를 만드는 유튜버를 제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9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2018년 0명이던 '조폭 유튜버'는 올해 8월 기준 9명으로 증가했다. 이는 지난달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전국 각 시·도 경찰청 전수조사 결과'에 의해 공개됐다. 이들은 마약을 팔거나 폭력을 행사하고 여성을 강제 추행하는 등 강력 범죄를 저질렀던 과거의 생활을 미화해 무용담을 늘어놓고 시청자들의 후원금을 받는 것이 특징이다. 유튜버가 라이브 방송 때 참여자로부터 실시간 후원금을 받는 콘텐츠 구매 플랫폼인 '슈퍼챗'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유튜브 채널 순위와 데이터 분석 사이트인 플레이보드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최근 5년간(2017~2022년) 조폭 유튜버들이 슈퍼챗을 통해 챙긴 수익은 △명천가족TV 5억3000만원 △창기TV 3억5000만원 △박훈TV 1억8000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이들 유튜버는 시청자가 직접 후원하는 슈퍼챗 순위에서도 꾸준히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조직폭력배의 생활, 경찰과 폭력조직 간의 유착관계 의혹 등 폭력조직과 관련된 자극적인 소재를 주로 삼는다. 조회수를 높이기 위해 사전에 짜고 '패싸움'을 벌이거나, 경찰에 찾아가 경찰과 대치하는 모습을 영상에 담기도 한다.


조폭 출신 유튜버들이 개인 방송에 나타나는 배경에 대해 조 의원은 "기존 조폭의 고령화, 유흥업소 보호비 같은 수입원 감소 등 조폭 생활만으로 돈 벌기 어려운 요즘 온라인 도박사이트, 보이스피싱 등 지능형 조직범죄로 옮겨가는 추세"라며 "조폭 유튜버도 같은 맥락"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유튜브 운영 행위 자체를 규제할 수 있는 근거 규정이 부재해 폭력조직 관련 영상 등 자극적인 콘텐츠를 규제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폭 유튜버들의 콘텐츠 대부분이 시청 연령 제한, 콘텐츠 심의 등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현재는 불법행위가 발견될 경우 경찰청 등 수사기관이 현행법에 근거해 사후 규제를 하거나 방송통신위원회 등 유관기관과 협의해 콘텐츠 심의를 강화하는 방법 밖에 없다.


이와 관련 조 의원은 "사후 규제는 물론이고 조폭 출신 전과자들이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시청 연령 제한 등의 제재 방안을 강구하는 수사당국의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런가 하면 혐오와 차별적인 표현을 활용한 유튜버들의 혐오 콘텐츠가 '슈퍼챗' 시스템을 통해 수익의 원천이 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시민단체 청년참여연대가 8일 발표한 '유튜브 감시 보고서'에 따르면 '슈퍼챗' 상위 5개 채널을 조사한 결과 여성이나 소수자 혐오, 선정적인 문구 등이 포함된 영상이 120개에 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로세로연구소, 김해꼬마TV 등 올해?기준 국내 슈퍼챗 수익 순위 상위 5개 유튜브 채널은 총 120개에 달하는 혐오 콘텐츠를 통해 6877만원에 달하는 수익을 거뒀다.



국내 규제가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지 않아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도 따른다. 단체 측이 장혜영 정의당 의원실을 통해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방심위에 유튜브 혐오 콘텐츠 규제 관련 질의서를 발송해 관련 자료를 확인한 결과, 방심위가 지난해부터 올해 6월까지 유튜브 측에 시정 요청을 한 혐오 표현 관련 콘텐츠는 6건이었다. 단체 측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와 같은 인터넷 통신 모니터를 담당하는 국가 기관이 플랫폼 내 차별과 혐오 문제를 시정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완 기자 kjw10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