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올해 회사채 발행액 '25조원' 돌파
정부에 4분기 전기료 추가 인상안 제출
가구당 요금 8만원 올려야 한다는 분석도
향후 5년간 부채 '45조원' 불어날 전망
[아시아경제 세종=이준형 기자] 2022년 상반기 매출액 31조9921억원, 영업손실 13조3033억원, 당기순손실 10조7617억원. 이는 매출이 늘어날수록 적자가 쌓이는 기이한 구조를 갖고 있는 기업, 바로 국내 최대 에너지 공기업 한국전력의 재무상황이다.
올 상반기 설립 이래 최대 적자를 낸 한전의 재무구조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전기요금이 연료비 인상폭을 따라가지 못해 밑지고 파는 ‘역마진’ 구조가 굳어진 결과다. 증권가에서는 이 추세라면 연간 기준 최대 35조원의 적자를 낼 수 있다는 관측마저 나온다. 이는 한전이 지난달 말 기획재정부에 제출한 '2022~2026년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에서 올해 26조6009억원의 적자를 낼 수 있다고 보고한 적자 규모보다도 8조원 이상 많은 수준이다. 연말이면 회사채 발행 등 ‘빚 돌려막기’조차 불가능해질 수 있다는 전망까지 제기된다.
한때 주식시장에서 우량주로 평가받았던 한전이 어쩌다 전례없는 위기에 처했을까. 부실의 핵심 원인은 명확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촉발된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에 전력도매가격(SMP)이 고공행진을 하고 있지만, 전기요금을 제때 못 올리고 있는 데 있다. 전기요금이 동일할 경우 SMP가 오를수록 한전 실적은 나빠진다. 21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SMP는 전날(20일) 기준 kWh당 247.47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동기(194.74원) 대비 약 27.08% 오른 수치다. SMP는 이달 들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또 지난달 평균 SMP는 kWh당 197.74원으로 최근 1년새 2배 이상 뛰었다.
손해를 보면서 전기를 파는 역마진 구조는 ‘역대급’ 적자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올 2분기에만 지난해 연간 영업손실(5조8601억원)을 웃도는 6조5164억원의 적자를 냈을 정도다. 이는 당초 증권가가 전망했던 한전 2분기 적자 5조3712억원도 뛰어넘는 규모였다.
한전 입장에서 전기 판매로 제대로 된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만큼 운영자금을 조달하려면 빚을 늘릴 수밖에 없다. 한전의 올해 신규 회사채 발행액은 이달 20일 기준 25조326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연간 발행액(약 10조4300억원)의 2.5배에 달하는 규모다. 앞서 한전은 올 들어 지난달까지 19조3200억원의 회사채를 신규 발행했다. 최근 20일 동안 6조원이 넘는 회사채를 새로 발행한 셈이다. 이같은 추세면 한전의 신규 회사채 발행액은 1~2개월 내로 30조원 안팎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가구당 전기요금 8만원씩 올려야"
이에 한전은 정부에 4분기 전기요금을 대폭 끌어올려야 한다고 보고했다. 앞서 한전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에 전기요금 구성요소인 연료비 조정단가를 오는 4분기에 kWh당 50원씩 인상하는 안을 제출했다. 전기요금을 kWh당 50원씩 추가 인상해야 한전이 올 4분기에 손해를 입지 않으면서 전기를 팔 수 있다는 의미다.
한전의 역마진 구조를 탈피하려면 가구당 전기요금을 8만원씩 올려야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전이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한전은 올해 적자 해소를 위해 다음달 전기요금을 kWh당 261원 올려야 한다고 보고했다. 한전이 올해 35조4000억원의 적자를 낼 것으로 분석한 하나증권 전망치로 산출된 수치다. 통상 전기요금이 kWh당 261원 오르면 월평균 307kWh의 전기를 사용하는 4인가구 전기요금은 8만원 이상 늘어난다.
다만 산업부는 전날(21일) 발표하기로 했던 4분기 전기요금 인상 결정을 연기했다.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 협의가 끝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고물가 상황에서 전기요금을 대폭 인상하기 어려운 만큼 정부가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기재부 등 물가당국은 한전이 제출한 연료비 조정단가 추가 인상안을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빚 돌려막기'도 한계
산업부는 법 개정을 통해 한전 회사채 발행액 한도를 늘리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물가당국 반대로 전기요금을 끌어올리지 못하면 한전의 ‘빚 돌려막기’가 한계에 달할 수도 있어서다. 한국전력공사법에 따르면 한전 회사채 발행액은 자본금과 적립금을 합한 금액(약 45조9000억원)의 2배를 넘지 못한다. 한전 회사채 발행 잔액은 20일 기준 58조2784억원으로 여유가 있어 보이지만 당기순손실만큼 적립금도 줄어든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한전이 올해 하나증권 전망대로 35조원 규모의 적자를 내면 당장 내년 초부터 회사채 발행 잔액이 막힐 가능성도 있다.
한전은 전기요금이 제때 오르지 않을 가능성에 대비해 고강도 자구책도 마련했다. 부동산 매각, 경영효율화 등을 통해 향후 5년간 14조2000억원 규모의 유동성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한전은 이미 자회사인 한전기술 지분 매각 작업을 본격화했고,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를 분할 매각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그러나 산업부가 추진 중인 한전공사법 개정은 물론 한전 자구책도 고육지책에 불과하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한전의 기형적인 재무구조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은 사실상 전기요금 인상뿐이라는 지적이다.
한편 한전 부채는 향후 5년간 45조원 가량 불어날 전망이다. 한전은 지난달 말 기재부에 제출한 '2022~2026년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에서 연결 기준 부채가 지난해 145조7970억원에서 2026년 190조8690억원으로 45조720억원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같은 기간 한전이 매년 이자로 지출하는 비용은 1조9145억원에서 3조5192억원으로 증가한다. 한전은 2026년 5조5233억원의 영업이익 흑자를 볼 것으로 예상했지만 영업이익 절반 이상을 이자비용으로 써야 하는 셈이다.
세종=이준형 기자 gil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