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굿모닝증시] 인플레 피크아웃에도 '금통위·옵션만기' 변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굿모닝증시] 인플레 피크아웃에도 '금통위·옵션만기' 변수 코스피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에 소폭 하락 출발한 12일 서울 을지로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AD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미 증시가 인플레이션 피크아웃과 기업 실적 시즌에 대한 기대감을 피력하며 상승 마감한 가운데, 이 같은 분위기가 국내 증시에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다만 14일 열리는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상 여부와 이날이 옵션 만기이라는 점 등이 증시에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44.23포인트(1.01%) 오른 3만4564.59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49.14포인트(1.12%) 상승한 4446.5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72.02포인트(2.03%) 높은 1만3643.59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미 증시는 전날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이후 인플레이션 경계감이 사라지고,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상승했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채권시장은 전월비 근원 CPI 상승률이 둔화한 점을 근거로 3월이 인플레이션 정점이 될 수도 있다고 기대하면서 미국채 금리는 하락 전환한 상태"라고 분석했다. 이날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2.3bp 내려간 2.699를 기록했다. 그는 이어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통과했다 해도 빠르게 하락하지는 않고 물가상승률 목표인 2%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러한 악순환을 끊기 위한 미 연방준비제도의 노력도 계속될 것으로 공격적인 금리인상과 양적긴축(QT)를 늦추지는 않고 계획된 페이스대로 통화정책을 진행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전망했다.


[굿모닝증시] 인플레 피크아웃에도 '금통위·옵션만기' 변수 코스피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에 소폭 하락 출발한 12일 서울 을지로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가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이날 종목별로는 델타항공(6.21%)이 예상치보다 축소된 적자를 기록한 가운데, 물가 인상에 따른 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올 2분기 흑자전환 가능성을 언급하자 리오프닝 관련 종목들의 주가가 뛰었다. 항공주, 크루즈, 여행, 호텔, 카지노 등 리오프닝 관련주들이 급등했다. 엔비디아(3.25%)도 게임과 데이터 센터에 대한 전망이 매우 강해 실적 기대가 여전하다는 이유로 각 리서치센터의 투자의견이 상향 조정되면서 주가가 일어섰다. AMD(2.78%), MS(1.97%), 아마존(3.15%), 스노우플레이크(1.65%), 패스틀리(3.98%) 등 클라우드 관련 기업들도 강세를 나타냈다. 테슬라(3.59%)도 리튬 코퍼(+25.00%) 인수한다는 루머로 올랐다.


이 같은 미 증시의 분위기는 우리나라 증시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 증시가 높은 물가 수준에도 불구하고 실적 시즌에 대한 기대 심리로 상승한 점은 우리나라 증시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며 "특히 견고한 실적이 예상되는 기술주와 델타항공의 영향에 따른 리오프닝 관련주의 급등은 국내 관련주의 강세에도 영향을 주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이날 금통위가 열리며 옵션 만기일라는 점은 증시 방향성에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두 변수는 장중 수급상 변동성 확대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 "금통위에서는 금리 동결로 우세한 쪽으로 컨센이 형성됐으며, 옵션 만기일에는 선물옵션 동시만기일에 비해 수급 충격이 크지 않은 경향이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