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종합건강검진·심리검사~치료까지 무료 지원…200명 신청접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뉴스듣기 글자크기

14세 이상 탈북민 ‘건강관리 패키지 지원사업’ 확대…11~30일 모집, 5~6월 검진
북한이탈주민 성·연령별 특성 고려한 차별화된 의료서비스 제공해 건강한 정착 지원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종합건강검진·심리검사~치료까지 무료 지원…200명 신청접수
AD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서울시가 탈북 및 정착 과정에서 육체적·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북한이탈주민을 위해 ‘건강관리 패키지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10일 밝혔다. 종합건강검진과 심리검사부터 치료·관리까지 원스톱으로 무료 지원한다.


서울시는 우선 근골격계CT, 결핵 같은 맞춤형 건강검진을 지원한다. 시는 예방의학 전문의 자문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에게 많이 나타나는 주요 질환을 중심으로 성별, 연령대별 검진항목을 다르게 구성했다. 북한이탈주민 특성을 반영해 근골격계CT를 신설하고 심리검사도 새롭게 포함시켰다. 심리검사는 정신건강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개발한 북한어 표기 심리검사지를 활용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우울증 등을 평가 진단한다. 검사 결과 질병이 확인되면 치료비와 간병비 등도 지원받을 수 있다.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종합건강검진·심리검사~치료까지 무료 지원…200명 신청접수


치료비도 지원을 확대했다. 북한이탈주민의 의견을 반영해 일반질환은 1인당 연간 20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상향했다. 최대 100만원의 간병비, 수직감염 위험이 높은 B형간염과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 접종비도 올해 처음으로 지원한다.


치과치료도 북한이탈주민들이 실제로 많이 지출하는 항목에 더 많이 지원하는 방식으로 조정했다. 보철 등 치과치료는 250만원에서 350만원으로 상향하고 틀니는 40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하향했다. 치료비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지역적응센터를 통해 안내 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건강관리 패키지 지원사업’에 참여할 북한이탈주민 200명을 11일부터 30일까지 거주지 관할 지역적응센터를 통해 모집한다고 밝혔다. 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14세 이상 북한이탈주민이다. 시는 3년 이상 검진 미수검자를 우선 대상자로 선정하고 센터 추천, 건강상태, 시급성, 소득수준 등을 고려해 선발할 계획이다.


최종 선정된 북한이탈주민은 5~6월 한국건강관리협회의 서울 동부, 서부, 강남 3개 센터에서 검진을 받으면 된다. 시는 검사전문기관인 한국건강관리협회와 MOU를 체결하고 치료연계 서비스 제공,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 건강생활 실천 프로그램 지원 등을 함께해 나갈 예정이다.


서울시는 하반기엔 현재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운영 중인 4개 시립병원(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 서울시립동부병원, 서울시립서부병원)에서 동일한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기봉호 서울시 남북협력추진단장 직무대리는 “6800여 명의 서울 거주 북한이탈주민들의 건강증진을 위해 보건의료 전문가들과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 이번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마련했다”며 “우리시의 의료지원사업이 북한이탈주민의 건강한 정착과 자립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