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Q 국내 주식·채권 하락…펀드 수익률 '마이너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1Q 국내 주식·채권 하락…펀드 수익률 '마이너스' [이미지 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이정윤 기자] 올해 1분기 국내 주식시장과 채권시장 모두 약세를 보이면서 관련 펀드들의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달 1일 기준 설정액이 10억원 이상인 국내 주식형펀드의 연초 이후 평균 수익률은 -7.89%를 기록했다. 지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익률을 추구하는 국내 인덱스주식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8.59%로 나타났다.


운용을 통해 지수 대비 초과수익을 추구하는 액티브주식 펀드도 올해 평균 수익률이 -6.29%로 손실 영역에 있었다. 다만 인덱스형 펀드보다는 하락률이 낮았다.


상품별로 보면 'KRX BBIG K-뉴딜지수'를 2배로 따라가는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TIGER KRX BBIG K-뉴딜레버리지'가 -35.00%로 국내주식형 펀드 중 올해 수익률이 가장 낮았다.


지난해 메타버스·NFT(대체불가토큰) 등으로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던 ETF 'KODEX 게임산업'(-28.14%)이 그 다음으로 낙폭이 컸다. 반면 'KODEX 보험'(15.93%), 'KODEX 철강'(10.10%), 'TIGER 은행'(8.68%) 등의 ETF는 국내 펀드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ETF를 제외한 펀드 중에서는 '트러스톤정정당당성과보수증권자투자신탁[주식-파생형]I클래스'(3.55%), '한국투자중소밸류증권자투자신탁(주식)(A1)(3.53%) 등의 액티브 펀드가 양호한 수익률을 보였다.


국내 채권형펀드(설정액 10억원 이상)는 연초 이후 수익률이 평균 -1.05%를 기록했다. 국공채권 펀드(-2.45%), 회사채권 펀드(-0.58%), 일반채권 펀드(-1.34%) 등이 손실을 보는 중이다. 다만 초단기채권 펀드는 0.24%로 올해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상품별로는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12.89%), 'KOSEF 10년국고채레버리지'(-10.58%) 등 주로 국고채 장기물에 투자하는 ETF가 수익률 하위권에 자리했다.


국내 주식시장은 연초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이슈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경기 불안으로 약세를 보였다.


아울러 Fed의 긴축 가속화를 시장이 반영하는 가운데 최근에는 장단기금리의 역전으로 경기 불안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달 말 미국 국채 5년물과 30년물의 금리가 역전된 데 이어 미국 국채 2년물과 10년물의 금리도 역전됐다. 보통 장기물 금리는 단기물 금리보다 높다. 장기물 금리는 경기 전망을 반영하는데 단기물 금리가 장기물 금리를 역전하는 상황은 경기 침체의 신호로 여겨진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금리에 어느 정도 왜곡이 존재하고 아직 우려할 만큼 깊이, 또 오랜 시간 역전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경기침체' 확률이 절대적으로 높아졌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일반적으로 수익률 곡선이 역전되고 평균 17∼21개월 뒤에 경기 침체가 나타나기 때문에 아직 상황을 관찰할 시간적 여유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국내 채권시장도 Fed의 긴축 등을 반영해 올해 금리가 가파른 오름세를 보였다. 금리 상승은 채권 가격의 하락을 뜻한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올해 들어 98.6bp(1bp=0.01%포인트) 올라 지난해 오름폭 82.2bp를 넘어선 상태다. 10년물 금리도 75.7bp 올라 지난해 상승 폭인 53.7bp를 웃돌고 있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