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1인가구 상담헬퍼' 사업 5월 시작…1인가구 정서·경제적 자립 지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공공지원 복지망 누락 1인가구 발굴 → 전문가 맞춤 상담 → 필요 서비스 연계·지원

서울시, '1인가구 상담헬퍼' 사업 5월 시작…1인가구 정서·경제적 자립 지원
AD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서울시가 코로나19로 사회적 교류가 끊어져 고립상태가 심화되거나 경제적 위기상황에 몰린 1인가구를 찾아내 상담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지원하는 ‘1인가구 상담헬퍼’ 사업을 5월부터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심리·직업상담, 사례관리 등 전문성 있는 ‘1인가구 상담헬퍼’가 옥탑방, 고시원, 지하층 등 주거취약 지역을 대상으로 공공지원 복지망에서 누락된 1인가구를 발굴한다. 지속적인 상담·사례관리를 통해 대상자의 니즈를 파악한 뒤 일자리 등 필요한 지원을 맞춤 연계해주는 내용이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1인가구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일상을 나누던 사회적 관계망이 중단되고 고립이 가속화되면서 정보가 부족하고 자신을 돌보기가 어려운 환경에 처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통계청 ‘맞벌이 가구 및 1인가구 고용 현황’에 따르면 최근 4년간 1인가구 중 취업가구 비율이 61.6%에서 59.6%로 점점 줄어들고 있다. 특히 코로나로 인한 일자리 타격이 심각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경우가 많아 자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1인 가구 상담헬퍼는 22일부터 4월 4일 50플러스센터포털을 통해 접수를 받는다. 심사를 거쳐 최종 41명을 선발한다. 상담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고, 관련 분야 1년 이상의 경험이 있는 만 50세~67세 서울시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5월부터 11월까지 7개월간 근무하며, 매달 52만 5000원(57시간 기준)의 활동비를 받게 된다.


1인가구 상담헬퍼는 자치구 복지관과 1인가구 지원센터에서 활동하게 된다. 1인가구 발굴부터 상담·사례관리, 서비스 연계까지 담당한다. 특히 취업을 희망하는 1인가구에게 청년, 중장년, 여성 등 맞춤형 일자리 정보를 제공한다. 공공의 교육훈련 전문기관을 연계해 1인가구의 취업 역량을 높여 경제적 자립을 돕는다. 1인가구가 복지관이나 1인가구 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자조모임에도 참석할 수 있도록 지원해 위축된 사회적 관계망 확대도 돕는다.



이해선 서울시 1인가구특별대책추진단장은 “요즘같이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는 상황에서 ‘1인가구 상담헬퍼’는 복지 사각지대에 숨어 있는 1인가구를 발굴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해 1인가구들이 어려움 없이 혼자 살 수 있도록 사회안전망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잘 드러나지 않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는 1인가구가 정서적·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