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인플레 7% 예상‥'매파' 파월 자극할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12월 CPI 7% 상승 전망
미 경제학자들 진영 관계없이 크게 우려
11일 상원 인준 청문회 발언‥매파로 기울면 시장 충격 불가피

美 인플레 7% 예상‥'매파' 파월 자극할까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뉴욕=백종민 특파원] 미국 인플레이션이 7%나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어떤 견해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파월 의장이 더욱 매파 쪽으로 기울 경우 조기 금리 인상과 양적 긴축 우려로 급락한 전 세계 금융 시장에 또다시 큰 동요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조사에 따르면 시장 전문가들은 오는 12일 발표될 지난해 1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 대비 7%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달의 6.8%에 비해 상승 폭이 더 커질 것이란 전망이다. 이는 1982년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파월 의장은 CPI 발표 하루 전인 오는 11일 상원 인준 청문회에 참석한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3월 금리 인상과 연내 양적 긴축을 시사한 지난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회의록 공개 후 처음이다.


CNBC 방송은 파월 의장 인중 청문회가 Fed의 인플레이션 대응을 확인할 '하이라이트'라고 전망했다.


이미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급등에 대한 Fed의 대응을 질타한 상황이다. 지난 7일 열린 전미 경제학회 연례 총회에 모인 경제학자들은 진보와 보수 진영 여부와 관계없이 일제히 인플레이션 우려를 쏟아냈다.


민주당 지지자이지만 조 바이든 행정부의 경제 정책에 부정적이던 로렌스 서머스 전 재무장관, 현 정권의 경제 정책을 절대적으로 지지해온 제이슨 파만 하버드대 교수, 공화당원으로 '테일러의 준칙'으로 잘 알려진 존 테일러 스탠퍼드대 교수는 일제히 금리 인상을 통한 인플레 대응을 강조했다.


파만 교수는 올해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가 3.2%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달 Fed가 예상한 올해 PCE 상승률 2.7%를 크게 웃돈다.


파만 교수는 바이든 대통령이 Fed 이사로 고려 중인 세 명의 인사들이 기존 인사들에 비해 지나치게 비둘기파라는 점도 우려했다.


테일러 교수는 Fed가 이미 인플레 대응에 뒤처져 있다면서 기준 금리가 3~6% 사이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머스 교수는 국채수익률이 추가로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지난주 1.8%대를 기록하며 한 주 사이 기록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서머스 교수는 "앞으로 1년 반 동안 금리가 대폭 인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머스 교수는 "인플레이션이 7%에 머물지는 않겠지만 2%로 떨어진다면 놀라울 것"이라고 말했다.


'맨큐의 경제학'으로 유명한 그레고리 맨큐 하버드대 교수는 인플레이션 상승이 일시적인 공급 부족으로 인한 것일 수 있지만, 지금은 임금상승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우려했다.


역시 빌 클린턴 정부에서 Fed 부의장을 지낸 앨런 블라인더 프린스턴대 교수도 "병목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Fed의 인플레이션 압력 인식이 더디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공화당원인 글렌 허버드 컬럼비아대 교수는 Fed가 전망한 올해 세 차례의 금리 인상이 인플레 압력을 완화할 수 있을지 의심하면서 "Fed가 운이 좋고, 똑똑해야 할 것"이라고 이례적인 경고를 하기도 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지프 스티글리츠 컬럼비아대 교수가 공급망 혼선 속에 금리 인상만으로 인플레를 차단할 수 없다고 주장했지만 소수 의견에 그쳤다고 전했다.



서머스 교수와 스티글리츠 교수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입장을 두고 논쟁도 벌였다.




뉴욕=백종민 특파원 cinq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