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권재희 기자] 아이폰 수리에 있어 엄격한 방침을 고수해 온 애플이 입장을 선회했다. 반드시 공식 기관을 통해서만 수리를 허용해온 애플이 일부 고장에 대해서는 '셀프 수리'를 허용한 것이다. 이 정책은 이르면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1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애플은 이르면 2022년 초부터 이같은 제도를 시행하겠다는 방침을 공개했다. 셀프수리가 허용되는 범위는 아이폰 디스플레이와 배터리, 카메라 등 자주 발생하는 고장에 한정된다. 추가로 셀프 수리가 가능한 범위는 향후 더 늘어날 전망이다.
애플은 직접 수리를 하려는 사용자에게는 순정품 부품과 수리 도구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부품 가격은 이같은 정책이 시행되는 내년에 공개될 예정이지만, 현재 수리점에 제공하는 것과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애플은 아이폰 수리는 애플스토어 및 공인 서비스 제공업체를 통해서만 하도록 엄격한 자체 규정을 고수해왔다. 아이폰을 공인인증 업체가 아닌 사설 업체에서 수리했다는 기록만 있어도 보증 기간 내 부품에 대한 리퍼나 수리를 거부하기도 했다.
이처럼 애플이 그동안 고수해 온 엄격한 수리 정책을 바꾸게 된 것은 소비자들의 불만이 꾸준히 이어져왔기 때문이다. 애플은 최근 3년간 수리센터의 수를 2배 가까이 늘렸지만, 수리에 대한 번거로움으로 소비자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다.
또한 조 바이든 행정부도 지난 7월 연방거래위원회(FTC)에 아이폰 등 일부 가전 업체들이 수리와 관련해 소비자의 선택을 제한하는 행위를 개선하라는 지시를 하기도 했다.
애플은 우선 미국에 이 제도를 도입하고, 다른 국가로 확대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지금 뜨는 뉴스
애플은 "이 정책은 전자제품 수리와 관련한 지식과 경험이 있는 사용자가 대상"이라고 강조했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