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위크리뷰]'원전에 SOS' 폭염 속 전력수급 고비 넘겨…피치, 韓 잠재성장률 하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위크리뷰]'원전에 SOS' 폭염 속 전력수급 고비 넘겨…피치, 韓 잠재성장률 하향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에 폭염주의보가 발령된 22일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에서 시민들이 이동하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AD


[세종=아시아경제 권해영 기자] 이번주 폭염으로 전력수급 불안이 우려됐지만 정부가 안정적인 수급관리에 나서며 첫 고비를 무사히 넘겼다. 전력 여유분을 뜻하는 공급예비력이 7월 넷째주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자, 정부는 계획정비중이던 원전을 조기 투입하는 등 전력대란을 막기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섰다.


24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피크예상시간은 오후 6~7시, 최대전력은 77GW로 예상된다. 이 시간대 공급예비력은 16.8GW(공급예비율 21.9%)로 정상 상태로 전망됐다.


이번주 무더위가 지속되면서 전력대란 우려가 커지자 정부는 원전 3기를 재가동했다. 18일 신월성 1호기(1000㎿) 재가동에 이어 신고리 4호기(1400㎿), 월성 3호기(700㎿)가 각각 21일과 23일 운전에 돌입했다. 이번 원전 재가동은 당초 일정에서 앞당겨진 것이다. 신월성 1호기는 8월말, 신고리 4호기는 이달말 재가동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번주 한낮 기온이 최고 36도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등 폭염이 심상치 않자 정부가 재가동 시점을 당초 일정 보다 많게는 한 달 이상 앞당긴 것이다. 원전 3기 재가동으로 이번주엔 지난주 대비 2150㎿의 원전 전력 공급이 추가 확충됐다.


◆피치, 韓 잠재성장률 2.5%→2.3%로 하향 조정=국제신용평가사 피치가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을 2.5%에서 2.3%로 하향조정했다.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AA-(안정적)'로 유지했지만 저출산·고령화 등에 따른 생산인구 감소가 중장기 성장을 제약할 걸로 봤다. 국가채무 증가가 재정운용상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고도 경고했다.


피치는 지난 22일 한국 신용등급을 발표하면서 "빠른 인구 고령화로 중기 성장 압력에 직면해 있다"며 잠재성장률 하향 조정 배경을 밝혔다. 이어 "현 정부가 중기 우려를 상쇄하기 위해 대규모 재정 투입을 통한 한국판 뉴딜을 발표했는데, 아직 평가하긴 이르다"고 덧붙였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피치의 발표 내용을 별도 자료로 배포했는데 잠재성장률 하락 내용은 없었다.


피치는 한국 경제의 위험요인으로 고령화와 함께 국가채무 증가를 언급했다. 특히 지출 증가에 따른 국가채무 증가는 재정운영의 위험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일반 정부의 재정적자(중앙정부·지자체·비영리공공기관)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지난해 3.7%에서 올해 4.4%로 확대돼 AA중위인 5.3%를 여전히 밑돌 것이라고 내다봤다.


[위크리뷰]'원전에 SOS' 폭염 속 전력수급 고비 넘겨…피치, 韓 잠재성장률 하향 [이미지출처=연합뉴스]


◆2030 구직단념자 46.8%…사상 최대치 경신=지난달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구직단념자 중 46.8%가 2030 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60대 이상 구직단념자의 비중은 전년 대비 8.2%포인트 올라 28.6%를 기록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6월 구직단념자는 58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4만6000명 늘었다. 지난해 3월부터 16개월 연속 같은달 기준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취업시장이 얼어붙은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전체 중 20대는 18만6000명, 30대는 8만7000명으로 2030대가 27만3000명(46.8%)에 달했다. 1년 전보다 20대가 10만명 늘고 30대는 9만명 줄면서 총 1만명이 늘었다. 성별을 보면 30대 남성 구직단념자가 전년 대비 13만명 줄었고 30대 여성과 20대 여성·남성은 모두 늘었다. 60세 이상은 16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5만7000명 늘었다. 전체 구직단념자 중 비중도 20.4%에서 28.6%로 8.2%포인트 뛰었다.


◆국내 가구 빚 증가속도, 소득의 2.5배=우리나라 가구의 빚 증가 속도가 소득 증가 보다 2.5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빚을 낸 가계가 갚아야 할 대출금과 이자가 소득보다 두 배 이상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는 얘기다.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강력히 시사한 만큼 원리금 상환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아시아경제신문이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3월 말 기준 1가구당 부채는 8265만원으로, 직전 3년간 연평균 약 386만원씩 늘었다. 2017년 3월 말 7099만원 수준이던 1가구당 부채는 2018년 7668만원, 2019년엔 7910만원 등으로 늘어난 뒤 작년엔 처음으로 8000만원을 넘어섰다.


반면 3년간 연평균 소득은 매년 약 149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16년 5478만원이던 연평균 가구당 소득은 2019년 후 5924만원으로 늘었다. 2019년 가구당 평균 소득증가율은 1.7%로, 통계청이 2012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한은은 연내 금리인상을 준비 중이다. 과도한 대출을 바탕으로 한 자산쏠림현상을 막기 위해선 어쩔 수 없는 선택이란 설명이다. 하지만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지속되는 만큼, 자영업자와 저소득층·다중채무자 연체가 급증하지 않도록 이에 대한 해결책도 함께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