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60~74세 고령층 백신접종 예약 3일 마감…예약률 80% 육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사전예약 3일 18시 마감
0시 기준 예약률 77.6%
내일부터 잔여백신도 우선권

60~74세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사전예약이 3일 마무리된다. 마감을 앞두고 예약에 속도가 붙으면서 당초 정부가 목표로 제시한 고령층 예약률 80%도 가까워지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으로 60~74세 고령층의 백신 접종 예약률은 77.6%를 기록했다. 연령대별로는 70~74세가 80.7%로 가장 높았고, 65~69세 79%, 60~64세 74.9% 순으로 집계됐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코로나19 백브리핑에서 "예약이 마감되는 오늘 18시까지 (예약률이) 조금 더 올라가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며 "이번에 예약을 하지 않을 경우 일반 국민 접종이 끝나고 11~12월 미접종자 접종 개시 때 맞게 돼 오랜 시간 기다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령층의 백신 접종 예약률은 지난달 27일 0시 기준 62.1%에서 지난 2일 74.8%로 1주일 만에 12.7%포인트 높아졌다. 지난달 20일까지만 해도 60~74세의 사전예약률은 50% 선에서 정체된 분위기였다. 하지만 지난달 26일 정부가 백신 접종자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을 발표하고 예약 마감일이 임박하자 예약률 증가세에 탄력이 붙었다. 지난달 31일에는 하루 동안 고령층 32만명 이상이 접종 의사를 밝히며 누적 예약률 70%를 단숨에 넘어섰다.


이 추세대로라면 최종 예약률 80%를 넘어서는 일도 불가능하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이날까지 예약하지 않은 고령층의 경우 전 국민의 1차 접종이 마무리된 이후 오는 10월께나 접종이 가능하다. 다만 정부는 예약을 하지 않은 대상자에 대해서도 백신을 맞을 수 있는 길을 열어둬 고령층의 접종률을 최대한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다.


60~74세 고령층 백신접종 예약 3일 마감…예약률 80% 육박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보건 당국은 고령층 접종 예약이 마감된 다음날인 4일부터는 잔여백신 접종 과정에서 위탁의료기관의 개별적 예비명단 활용을 자제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60세 이상 고령층에 대해서만 위탁의료기관 방문·전화로 예비명단을 통한 예약 및 접종이 가능하도록 했다. 아스트라제네카(AZ)·얀센 백신의 접종 후 잔여 물량이 고령층에 우선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한편 세부 지침을 두고 당국이 갈지자 행보를 보이면서 일선 의료기관과 접종 대기자들 사이에서는 불만이 커지고 있다. 추진단은 전날 오후 2시10분 보도자료를 통해 "자체 예비명단 작성 및 접종은 4일부터 60세 이상만을 대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그간 30세 이상이라면 별도의 제한 없이 허용해 온 예비명단 접종을 갑작스레 금지시킨 것이다. 이어 오후 6시께 배포된 보도자료에서도 "기존에 마련된 60세 미만 예비명단은 3일까지 접종이 가능하다"며 "60세 미만 대상자는 4일부터 네이버·카카오로 공개되는 잔여량으로만 예약 가능하다"고 재확인했다. 하지만 해당 지침은 오후 10시 갑작스레 유예됐다. 추진단은 "위탁의료기관에서 이미 마련한 예비명단은 잔여백신 예약 서비스 시범 운영이 끝나는 9일까지 유예기간을 두고 사용 가능하다"고 바뀐 내용으로 잔여백신 접종 방침을 안내했다.


전날 전화로 예비명단 취소통보를 받은 40대 신모씨는 "정작 예약기회를 줄 때는 예약도 안한 이들에게 왜 우선권을 주겠다는 건지 이해가 안 간다"며 "얀센도 못 맞았는데 잔여백신까지 못 맞게하는 건 너무한 것 아니냐"고 하소연했다. 백신접종 위탁의료기관인 영등포구의 한 병원 관계자도 "어제 갑작스레 3일까지만 예비명단을 활용하라는 공문이 내려왔다"며 "아무런 언질도 없다가 갑자기 통보를 받고 부랴부랴 전화를 돌려 취소 통보를 했는데 이제는 또 9일까지라니 어떻게 하라는 건가 싶다"고 당혹감을 드러냈다.



질병청 관계자는 "기존 예약자들이 예약을 취소해야 하는 데 대한 불편을 줄이기 위해 9일까지 유예를 둔 것"이라며 "어르신 우선 접종한다는 원칙은 달라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김지희 기자 ways@asiae.co.kr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