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학교 복도서 비틀거리던 중학생…마약에 취해 있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현직 교사 제보
"예전에 술·담배였다면 지금은 도박·마약"

최근 10대 마약사범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중학생이 교내에서 마약에 취해 비틀거리는 모습을 직접 목격했다는 현직 교사의 제보가 전해졌다.


익명을 요구한 19년 차 중학교 교사 A씨는 13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최근 자신이 근무하는 학교에서 한 학생이 마약을 복용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전했다. A씨는 해당 학생이 학교에서 눈에 띄게 비틀거리는 모습이 목격되면서 마약 투약 사실을 인지하게 됐다고 밝혔다.


학교 복도서 비틀거리던 중학생…마약에 취해 있었다
AD

A씨는 "학생이 학교에서 비틀거리는 모습을 다른 학생들이 목격했다"며 "아이들 사이에서 해당 학생이 술을 마시고 학교에 왔다는 소문이 퍼졌다. 하지만 학생에게서는 술 냄새가 전혀 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A씨는 처음에는 "헛소문 내지 말라"며 학생들을 혼냈지만, 다음날에도 해당 학생이 술에 취한 사람처럼 비틀거리면서 복도를 걸어가는 모습이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목격되면서 해당 학생과 상담했다고 전했다.


상담에서 학생은 "최근 다이어트약을 먹었다"며 "텔레그램을 통해 모르는 사람에게 약을 구해서 먹었다"고 밝혔다. 또 "구매한 약을 옆 반 친구와 같이 먹었다"라고도 했다. 이 학생이 먹었다는 '다이어트약'은 '마약'이었다. A씨는 해당 학생도 이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지역 경찰서에서 학교에 방문해 약물 구입 경로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갔다고 전했다.


A씨는 "아이들은 절대 마약이라고 표현하지 않는다. 은어를 사용한다"며 "실제 다이어트약이라고 홍보하면서 값싼 중국산 합성 마약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디엠(DM·다이렉트 메시지)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학생 본인도 환각성 있는 마약이라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혼날 것이 두려워 끝까지 다이어트약이라고 말한 것"이라고 했다.


또 제자들에게 물어 확인한 결과 이미 학생들 사이에서 마약은 "흔하게 있는 일"이며 "특히 고등학교 남학생들 사이에서는 텔레그램으로 쉽게 구할 수 있다"는 대답을 들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예전에는 소위 노는 학생들이 음주나 흡연이었다고 하면 지금은 도박, 마약에 손을 댔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A씨는 "마약 경험이 있는 학생을 중심으로 일종의 커뮤니티가 형성된다"며 "지역마다 있는 총책을 동네 선배라고 부르면서 친근하게 지내는 경우가 흔하다고 한다"고 전했다.


A씨는 "학교 현장에서는 예방 교육에만 의존하고 있다"며 "약물 오남용 교육 시간은 더 느는 추세지만 실제 교육이 더 필요한 친구들은 학교 밖 청소년"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학교 밖에서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한편 최근 법무부의 통계를 보면 지난해 10대 청소년 마약 사범은 1477명으로 2019년 239명에서 6배 이상 증가했다. 청소년 마약 사범이 늘어난 배경에는 정부 차원의 단속이 강화된 측면도 있지만, 엑스(X·옛 트위터)와 텔레그램 등 각종 SNS상에서 마약에 대한 접근이 쉬워진 탓도 있다는 분석이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