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OECD 물가 고공행진…12년만에 상승률 최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3.3%…블랙록 CEO "물가 급등, 큰 충격 줄 수도"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 주요 선진국 물가가 12년여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집계한 36개 회원국의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3%로 2008년 10월 이후 가장 높았다.


OECD 회원국이 전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0%가 넘는다.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 위험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4월 물가상승률은 3월 2.4%에 비해 0.9%포인트 급등했다. CNN은 인플레이션 상승세가 가팔라지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갑작스러운 인플레이션이 코로나19 국면에서 회복되고 있는 주요국 경제의 변수로 등장했다고 풀이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래리 핑크 최고경영자(CEO)는 물가 급등이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핑크 CEO는 이날 도이체방크가 주최한 온라인 행사에서 3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물가가 하락하는 흐름만 보였다는 점을 지적하며 현재 대부분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 경험이 없기 때문에 물가 급등이 큰 충격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OECD 물가 고공행진…12년만에 상승률 최고 래리 핑크 블랙록 CEO [사진 제공= 로이터연합뉴스]
AD

다만 OECD는 현재의 물가 급등이 일시적일 것으로 봤다. 4월 물가상승률이 크게 오른 이유는 기저효과 때문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선언 직후였던 지난해 4월에는 원자재 가격이 급락했다. 현재 구리, 철광석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은 당시보다 두 배 이상 오르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


OECD는 따라서 연말에는 기저효과가 사라지며 물가상승률이 진정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OECD 회원국의 4월 에너지 가격 상승률은 16.3%로 집계됐다. 3월에는 7.4%였다.



한편 OECD는 세계 경제의 80%를 차지하는 주요 20개국(G20)의 4월 물가상승률은 1년여 만에 가장 높은 3.8%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3월보다 0.7%포인트 올랐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