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은행권 영업점 통폐합 속 복합점포는 급증…"뭉쳐야 산다"(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6개 은행 복합점포 2015년 88개→올해 216개
복합점포 확대하고 부동산, 세무 등 각 분야 전문가 영입

은행권 영업점 통폐합 속 복합점포는 급증…"뭉쳐야 산다"(종합)
AD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은행들이 업무영역 파괴 시도에 한창이다. '은행+증권'을 합친 복합점포를 확대하고 부동산, 세무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고객 유치와 자산관리 효율성 제고를 동시에 공략하고 있다.


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민ㆍ신한ㆍ하나ㆍ우리ㆍ농협ㆍ기업은행 등 6개 은행이 운영하는 복합점포 수는 2015년 88개에서 올해 9월 기준 216개로 2배 이상 늘었다. 이 기간 KB국민은행의 복합점포 수가 6배 가까이 늘었고, 하나은행과 기업은행도 각각 2배, 4배 이상 증가했다.

복합점포 확대 왜?

은행들이 복합점포를 적극적으로 늘리고 있는 것은 통합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으로 계열사 거래고객을 그룹차원에서 관리해 묶어둘 수 있고 고액자산가 대면채널 경쟁력 강화, 효율성 및 고객만족도 제고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들이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에 따라 점포 수를 줄이면서도 은행ㆍ증권 서비스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복합점포 신설에는 공격적으로 나서는 이유다.


은행, 증권, 생명보험, 손해보험, 카드, 캐피탈 등 총 12개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는 KB금융그룹은 복합점포 확대를 통해 계열사 간 협업을 공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KB금융은 10월 현재 74개 자산관리(WM)복합점포와 9개의 기업투자금융(CIB) 복합점포를 포함해 총 83개의 복합점포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올 연말까지 5개의 WM복합점포를 추가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KB금융 관계자는 "그룹 내 협업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기존 '시너지추진부'를 지난해부터 '원펌(One-firm) 전략부'로 개편해 운영하고 있다"며 "그룹 내에서 패키지 상품, 계열사간 연계 프로세스, 그룹 공동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 아이디어를 공모해 사업화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나금융도 은행과 증권, 보험 등 금융 계열사 서비스를 한 곳에서 제공하는 전략을 세웠다.


그룹내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은행과 증권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손님의 금융 니즈를 충족시킨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대도시 중심의 권역별 지방 거점화와 복합점포 범위를 넓히는 협업 전략을 전국으로 확대해나가고 있다. 올해 광장동지점, 노원지점, 도곡지점, 인천지점, 훼미리지점, 포항지점 등이 복합점포로 오픈했고 지역 거점화 일환으로 지방 대도시 1호 복합점포인 대전 둔산WM센터도 문을 열었다.


부동산, 세무, 법률 전문가 협업도 활발
경쟁적으로 토지보상 상담 전담조직 구성

복합점포 확대 뿐 아니라 부동산, 세무, 법률 전문가를 영입해 폭넓은 자산관리 상담을 지원하는 은행들도 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올해 하반기 3기 신도시 토지보상이 본격화하는 등 내년까지 50조원에 달하는 토지보상금이 풀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자 은행들은 경쟁적으로 업무 협업체인 토지보상 상담 전담조직을 만들었다.


NH농협은행은 지난달 부동산, 세무 전문가 등 20명으로 구성된 '토지보상 서포터즈'를 출범시켜 ▲ 토지 적정 가치평가 및 대체투자 부동산 매입 전략 ▲ 양도소득세 절세 전략 및 증여ㆍ상속 맞춤 컨설팅 ▲ 최적의 자산 포트폴리오 설계 및 재테크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우리은행도 지난달부터 우리 프라이빗뱅킹(PB) 고객부에서 '토지보상 지원반'을 꾸려 대응하고 있으며 신한은행도 부동산, 세무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세무ㆍ법률ㆍ토지감정 상담을 제공 중이다.



다만 은행권의 성과를 위한 경쟁적인 협업은 사고가 터졌을 때 책임회피와 금융상품 불완전판매 '틈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려를 안고 있어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은행을 방문한 고객에게 고위험 증권사 금융상품을 소개하는 경우가 많아 금융감독원이 복합점포에서의 고객인계 과정 적절성 여부를 집중적으로 감시ㆍ감독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