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작년 물가상승률 주요 7개국 평균 아래…체감물가와 괴리 벌어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OECD 통계상, 한국 작년 연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 1.5%

작년 물가상승률 주요 7개국 평균 아래…체감물가와 괴리 벌어져
AD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지난해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4년 만에 주요 7개국(G7) 평균보다 낮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하락은 경기 둔화의 신호다. 수요 부진을 의미해 경기 활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반면 소비자들에겐 이익이다.


10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보면 작년 한국의 연평균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은 1.5%였다. G7 평균치인 2.1%보다 0.6%포인트 낮았다. G7 국가 중에선 일본(1.0%)과 이탈리아(1.1%) 2개국만 물가상승률이 한국보다 낮았다. 미국(2.4%), 영국(2.3%), 캐나다(2.3%), 독일(1.9%), 프랑스(1.9%)는 모두 한국보다 높았다.


G7 국가 평균치보다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낮았던 것은 지난 2014년 이후 처음이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내놓은 경제전망에서 올해 물가상승률을 1.4%로 예상했다. 작년보다 0.1%포인트 낮고 작년 10월에 전망했던 올해 전망치보다도 0.3%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체감물가의 괴리는 점점 커지는 추세다. 지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를 밑돌았지만, 체감 물가는 2%대를 유지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0.8%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한국은행이 발표한 물가인식은 같은 달 2.4%로 조사됐다. 지난달 체감·실제 물가 사이 격차는 1.6%포인트로 2018년 1월(1.7%포인트) 이후 1년 만에 가장 많이 벌어졌다. 물가인식은 지난 1년간 소비자들이 인식한 물가 상승률 수준으로, 전국 도시 25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하는 수치다.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 수준을 알 수 있다.



소비자들이 느끼는 주관적인 물가와 공식 물가 간 차이가 나는 이유는 품목 때문이다. 통계청 소비자물가는 460개 품목을 대상으로 조사하지만, 소비자들이 자주 구매하는 품목은 일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다른 품목에서 물가가 내리더라도 농산물, 외식비, 교통비 등이 오를 경우 소비자들은 물가가 상승했다고 느끼게 된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