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기업, 장애인 고용률 1.99%에 불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민간 기업보다 한 참 모자라…지난 5년간 2% 한 번도 넘은 적 없어

대기업, 장애인 고용률 1.99%에 불과
AD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지난해 자산규모 10조 이상 26개 대기업집단의 장애인 고용률이 1.99%로, 전체 민간기업 장애인 고용률 2.56%에 한 참 모자란 것으로 확인됐다.


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용득 의원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장애인 의무고용 대상 민간기업 2만7505개소의 장애인 의무 고용률 평균은 2.56%에 불과했다.

민간기업의 근로자 규모별로 장애인 의무 고용률을 살펴보면 100인 이상 300인 미만 사업장이 2.99%로 장애인 의무 고용률 2.9%를 상회했다.


그러나 100인 미만 기업을 제외하고 기업 규모가 커질수록 장애인 고용률이 점차 낮아지는 경향은 여전히 변함이 없었다.

문제는 자산규모 10조 이상 26개사를 기준으로 하는 대기업집단의 장애인 고용률이 1.99%로 조사 분야에서 가장 낮은 기록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대기업집단의 장애인 고용률을 보면 '30대 기업집단'을 기준으로 했던 지난 2012년부터 2015년까지의 평균이 1.89%였고(2012년 1.84%, 2013년 1.90%, 2014년 1.90%, 2015년 1.92%), '자산규모 10조 이상 기업'으로 변경된 2016년에는 1.99%였다. 지난 5년간 2%를 한 번도 넘지 못했다.


장애인고용률이 낮은 이유에 대해서 대기업집단들은 '장애인 적합직무 부족', '능력있는 장애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들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대기업들의 장애인 고용에 대한 의지부족과 장애인에 대한 인식 부족이 주된 이유라고 주장한다.


이유가 무엇이든지 2016년 국가와 지자체 공무원 장애인 고용비율은 2.81%, 공공기관은 2.96%, 민간기업은 2.56%로 지속적인 상승추세에 있는 것과 비교해도, 턱 없이 낮은 대기업집단의 장애인고용률은 비판을 받기에 충분해 보인다.


이 의원은 "기업의 환경이나 여건만으로 보면 오히려 대기업집단의 장애인 고용률이 높아야 하나, 지난 5년간 2%를 넘지 못하고 있는 현상은 결국 대기업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부족이나 편견이 주된 이유라고 볼 수밖에 없다"며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 성공 여부는 대기업들의 적극적인 장애인 고용에 달려있다"고 언급했다.




세종=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