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SK하이닉스, 이천에 통합R&D센터 착공…'차세대 연구 거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SK하이닉스, 이천에 통합R&D센터 착공…'차세대 연구 거점" SK하이닉스 통합연구센터 조감도
AD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SK가 반도체 사업에 대한 투자 계획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반도체에 대한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각별한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SK하이닉스는 반도체 기술 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2000억원 이상을 투자해 이천에 통합 연구개발센터를 건설한다고 28일 발표했다. 이는 전날 도시바 반도체 자회사(도시바 메모리)에 대한 4조원 투자 발표에 연이어 나온 것이다. 지난 7월 SK하이닉스는 올해 반도체 시설투자(CAPEX)를 당초보다 2조6000억원 늘어난 9조6000억원 집행할 계획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10월에 착공하는 이천 통합연구개발센터는 지상 15층, 지하 5층에 연면적 약 9만㎡ 규모로 이천캠퍼스 M14 공장 옆 부지에 조성된다. 이는 4000여명 이상의 인력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2019년 9월 연구개발센터가 완공되면 지금까지 이천캠퍼스 내 여러 건물에 분산돼 있던 미래기술연구원과 낸드 개발사업부문의 인력들이 한 공간에 모이게 된다. 특히 D램개발사업부문 등이 입주해 있는 수펙스센터와 R3 건물에도 인접해 통합 연구개발 허브를 이룰 예정이다. SK하이닉스는 "이를 통해 소통과 협업을 강화하여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보다 효율적인 연구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SK하이닉스가 통합 연구개발센터를 새로 짓는 것은 반도체 사업 확대에 따라 연구개발 인력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기술역량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올 한 해 동안 1000명 이상의 채용을 예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해 채용 규모의 두배에 달한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향후 연구개발 인력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며 이에 대비해 추가적인 근무 공간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며 "특히 반도체 기술의 개발 난이도 증가로 연구개발 역량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만큼 통합 연구개발센터를 차세대 핵심 연구거점으로 삼아 미래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SK하이닉스의 올해 연구개발비는 역대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2012년 SK그룹 편입 당시 8000여억원이던 SK하이닉스의 연간 연구개발비 투자액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지난해에는 2조1000억원에 달했다. 이는 2016년 매출액 대비 12.2%에 달하는 규모다.


SK하이닉스는 올해 상반기까지 1조1000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집행했다. 현재 추세라면 올해 다시 한번 사상 최대 규모의 연구개발비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SK하이닉스는 "메모리반도체 산업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