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기도 10월부터 7800대 버스 '차량혼잡정보' 서비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7초

경기도 10월부터 7800대 버스 '차량혼잡정보' 서비스 경기도가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차량 혼잡도
AD


[아시아경제(의정부)=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시외버스에 이어 다음 달부터 일반 시내버스에도 '차내혼잡정보서비스'를 도입한다. 이 서비스는 버스에 탑승한 승객 수에 따라 버스 내 상태를 '여유', '보통', '혼잡', '매우혼잡' 등 4단계로 나눠 제공하는 버스정보 시스템이다.

경기도는 다음달 1일부터 도내 일반형 시내버스 1900개 노선 7800여대를 대상으로 차내혼잡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8일 밝혔다. 도는 앞서 지난 7월1일부터 수원시를 대상으로 약 3개월 간 시범서비스를 실시해 시민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차내혼잡정보는 버스의 크기(대형ㆍ중형ㆍ소형)에 따라 다른 기준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55인승 대형버스(차량길이 10m이상)의 경우 승객 수가 25명 이하일 경우 '여유', 26~40명은 '보통', 41명~55명은 '혼잡', 56명 이상은 '매우혼잡'으로 안내된다. 특히 이를 알려주는 아이콘 모양을 혼잡도에 따라 색깔과 글자로 구분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이번 서비스는 경기도가 직접 운영하는 스마트폰 앱 '경기버스정보'와 홈페이지(gbis.go.kr)를 통해 우선 제공된다.


도는 아울러 시ㆍ군에서 운영하는 정류소 안내전광판은 지역별 시스템 개선 작업을 거쳐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배홍수 도 교통정보센터장은 "2015년 좌석형 버스 빈자리정보 제공에 이어 일반형 시내버스 차내혼잡정보 제공으로 경기도 버스 이용편의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됐다"며 "특히 차량 간 승객 분산으로 차내 혼잡도가 완화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