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문화재청 ‘구미 대둔사 대웅전’ 보물 지정 예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문화재청 ‘구미 대둔사 대웅전’ 보물 지정 예고 구미 대둔사 대웅전 전경 [사진=문화재청 제공]
AD


[아시아경제 김세영 기자] 문화재청은 1일 ‘구미 대둔사 대웅전’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경상북도 구미시에 소재한 구미 대둔사 대웅전은 형태, 구조, 장식 면에서 볼 때 역사·건축·예술적 가치가 있어 보물로 지정할 만하다.


구미 대둔사는 구미시 옥성면 복우산 동쪽 중턱에 자리한 사찰로 신라 눌지왕 30년(446년) 아도화상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후 고려 고종 18년(1231년) 몽골족 침략으로 불타버린 것을 충렬왕의 아들 왕소군이 출가해 다시 세웠으며, 선조 39년(1606년) 사명대사 유정이 중건했다.

현재 자리에서 서남쪽 약 300m 지점에 대둔사 옛터가 남아 있다. 현재 대웅전은 진입로에 요사채(스님들이 머물며 생활하는 건물), 입구 오른쪽으로 명부전, 왼쪽으로는 석축을 두고 있다. 명부전 북쪽으로 3단의 응진전도 남아 있다.


1987년 대웅전 수리 중 발견된 상량문에 따르면 광해군 6년(1614년)부터 순조 4년(1804년)까지 다섯 차례 수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붕에 ‘건륭31년 병술(1766)’이라고 기록한 망와(장식기와)가 다수 남아 그 역사를 입증하고 있다.


대웅전은 앞쪽에 높은 장대석(長臺石) 석축과 계단을 두었으며 그 위에 장대석 기단과 자연석 초석을 놓고 원기둥을 세웠다. 건물은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팔작지붕이며,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다포(多包)계 건물이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장식성이 나타나는 17∼18세기 건물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우물천장 등 구조와 내부 닫집의 섬세한 조각형태, 단청문양이 남아 있다.


지붕의 네 모서리에는 팔각형 활주(活注, 추녀 밑을 받친 보조기둥)를 두었으며 창호는 정면 가운데 꽃살 여닫이문과 배면 우측의 영쌍창(창호 가운데 기둥이 있는 창)이 고전적인 건축양식을 보여준다.


문화재청은 보물로 지정 예고한 구미 대둔사 대웅전에 대해 30일간 예고 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한다.




김세영 기자 ksy123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