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올 여름에 사라진 모기, 가을에 나타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올해 여름 모기 개체 수 줄었지만 가을 모기가 위협

올 여름에 사라진 모기, 가을에 나타난다? 일본뇌염 모기
AD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는 속담은 옛말이 됐다. 처서 이후에도 모기가 왕성하게 활동하기 때문. 오히려 요즘에는 여름보다 가을에 모기가 더 극성이다. 올해도 여름 모기 개체 수는 줄었지만 가을 모기가 사람들을 위협하고 있다.

1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전국 10개 감시 지점의 모기 수를 집계한 결과 8월 3주간 채집된 모기 수는 1541마리로 최근 5년간(2012~2016년) 평균인 3075마리의 절반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615마리)보다도 현저히 적은 수치다. 지난해 여름에도 30도 이상의 폭염이 계속되고 강수량이 적어 모기 수가 감소했었는데 올해 더 줄어든 것이다.


올 여름 35도가 넘는 폭염이 이어지면서 모기의 활동성이 저하된 것으로 분석된다. 또 모기는 저수지나 연못 등 고인 물에 알을 낳는데, 여름철 가뭄과 폭우로 고인 물이 마르거나 넘치면서 모기의 산란지가 줄었다.

반면 가을에 들어서면서 모기의 활동량은 크게 늘고 있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모기 예보제를 시행한 결과, 가장 높은 단계인 주의~불쾌 단계 69일 중 40.6%(28일)가 6월에, 33.3%(23일)는 9월에 집중돼 있었다. 지난해 모기가 가장 기승을 부렸던 날은 9월11일이었다.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로 여름보다 가을이 모기가 서식하기에 적합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모기는 주로 24~28도에서 활동한다. 가을철엔 일교차가 커 밤에 기온이 낮아지지만 가을 모기는 고층 빌딩, 아파트 밀집지역에서 주차장이나 하수구, 계단 등에 숨어 있다가 따뜻한 실내로 잠입한다. 때문에 사람들이 체감하는 모기 빈도수가 증가하기도 한다.


한편 가을 모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일본 뇌염 등 전염병 발병 위험이 우려된다. 일본뇌염은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렸을 때 발병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이를 여름철 질환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실제로는 가을철에 자주 발병한다. 지난 4년간 일본뇌염은 90% 이상이 9~11월에 발생했다.


일본뇌염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고 보존적인 치료법만 있어 적극적인 예방이 필요하다. 일본뇌염의 원인인 작은빨간집모기는 축사나 들판에 주로 서식한다. 따라서 일본뇌염을 예방하려면 등산 같은 야외활동이나 축사작업시 긴 옷을 착용하고 모기기피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정에서는 방충망을 쓰는 게 좋다.




아시아경제 티잼 김경은 기자 sil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