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역사(驛舍)의 재탄생]방치됐던 서울역, 역사·문화 보존지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역사(驛舍)의 재탄생]방치됐던 서울역, 역사·문화 보존지로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사업계획
AD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서울역 일대가 서울로7017(옛 서울역 고가도로)을 중심으로 다양한 보행길로 연결되고 역사·문화 자원을 보존하는 형태로 도시재생된다.

서울시는 전날 열린 제2차 도시재생위원회에서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활성화계획안'에 대한 사전 자문을 진행했다고 18일 밝혔다.


서울시는 앞서 2015년 1월 도시재생본부 출범 이후 '2025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수립해 서울역 일대, 세운상가 일대, 창신·숭인 일대 등 1단계 13곳을 선정,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서울역 일대는 교통의 중심지나 철로로 인한 보행 단절, 역사적 가치와 장소성 등 지역별 고유 특성 상실, 노후화 등 여러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서울시는 2015년 12월 서울역 주변 195만㎡를 도시재생활성화구역으로 지정했다. 이후 다양한 의견 수렴을 거쳐 서울로7017을 중심으로 다양한 보행길 연결 등 지역 고유의 특성을 살리면서 경제적 역사·문화 자원을 보존하는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수립했다.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사업은 동북권 일자리 창출 중심지인 창동·상계와 함께 대표적인 경제기반형 재생사업이다.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의 주요 내용은 ▲걷는 서울의 시작 ▲시민과 만나는 역사·문화 ▲살아나는 지역산업 ▲삶터의 재발견 ▲주민과 함께하는 서울 등으로 5개 권역 38개 사업에 482억원이 투입된다.


이번 도시재생위원회 자문 결과를 토대로 계획 내용을 보완해 시의회 의견 청취, 도시재생위원회 심의를 거쳐 도시재생활성화계획안이 고시되면 도시재생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서울시는 서울역과 서울길을 거점으로 주변 낙후된 중림동, 서계동, 회현동, 남대문 시장의 보행과 역사·문화, 산업경제, 생활환경, 공동체재생을 위한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올 12월 결정 고시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업이 완료되는 2019년에는 서울역 주변 일대가 새로운 명소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역 일대 등 서울형 도시재생 1단계가 쇠퇴한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면 2단계 사업지 14곳은 도심은 물론 동북·서남권 등에 고르게 분포돼있어 서울형 도시재생을 전 지역으로 본격 확장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