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천해양박물관·GTX 건설 실현되나…'최대 관문' 기재부 심사 통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4초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인천시의 숙원사업인 국립해양박물관 건립과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건설 사업이 최대 관문인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에 선정되면서 실현 가능성이 높아졌다.


17일 인천시에 따르면 이들 사업은 다음달 시작되는 기획재정부의 올해 하반기 예타 대상사업에 포함됐다. 사업의 최종 추진 여부를 결정할 예타 결과는 내년 하반기에 나온다.

GTX(B노선)는 정부가 5조8319억원을 들여 인천 송도국제도시~서울 청량리∼경기도 마석 사이 80㎞를 지하로 건설하는 사업이다. 2025년 개통을 목표로 한다.


애초 송도∼서울역∼청량리 구간으로 기획된 GTX B노선은 2014년 2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타조사 결과 사업편익비용(B/C)이 0.33에 그쳤다.

인천시와 국토해양부는 노선을 다시 기획해 B/C를 1.13으로 높였지만 올해 2월 기재부 심사에서 국가재정운영 부담과 사업성 보완 등의 이유로 문턱을 넘지 못했다.


이후 시와 국토부는 사업계획을 수정·보완해 지난 6월 말 예타조사를 재신청했고, 3번의 도전 끝에 이번에 기재부 심사를 통과했다.


GTX는 지하 40∼50m에 건설된 터널에서 평균 시속 100km로 달려 송도에서 서울역까지 26분, 청량리까지는 30분이 소요될 것을 예상된다.


국립인천해양박물관 건립 사업은 수도권의 첫 해양박물관 유치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인천시는 2024년 개관을 목표로 중구 북성동 월미도 갑문매립지에 연면적 2만2588㎡, 4층 규모의 해양박물관을 지을 계획이다. 기재부 예타를 통과해야만 정부사업으로 확정돼 총사업비 1315억원이 국비로 지원된다.


인천시는 이 사업이 경제성이 충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시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 의뢰한 타당성 조사용역에서 B/C가 사업 추진 기준 1.0을 넘는 1.2를 기록했다.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2529억원에 1590명의 취업유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월미도 갑문매립지는 인근 월미공원·이민사박물관 등 주변 시설과 연계한 관광코스로 손색이 없고, 바다 조망권도 확보해 최적의 입지를 갖춘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해양관련 박물관이나 과학관은 전국 18곳에서 운영되고 있으나 수도권에는 단 한 곳도 없다.


시는 수도권 2500만 시민에게 해양문화 체험과 교육의 장을 제공하고 해양도시 인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자 해양박물관 건립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난 3월엔 수도권 시민 107만명의 건립지지 서명을 받기도 했다.


시는 또 사업추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해양박물관 건립 부지 매입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당초 해당 부지는 인천시가 매입해 해양과학관을 건립하는 조건으로 인천항만공사가 공사비를 선투입해 2010년 조성(매립)을 완료했으나 민자유치 및 국비확보의 어려움, 사업계획 변경 등으로 시가 매입을 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인천항만공사는 매립비용과 금융비용을 포함해 180억원 규모의 민사소송을 지난해 4월 제기, 현재 1심 재판이 진행 중이다. 시는 올해 안에 해당 부지를 매입해 해양박물관 부지도 확보하고 소송건도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들 사업이 추진되려면 경제성, 정책성, 지역균형 발전 분석 등 3개 분야에서 경제적 타당성을 인정받아야 한다"며 "인천은 물론 국가에도 필요한 사업인 만큼 관계 부처인 해양수산부·국토부 등과 긴밀히 협의해 사업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