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판교테크노밸리 매출 '77조4833억'…부산GRDP 맞먹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판교테크노밸리 매출 '77조4833억'…부산GRDP 맞먹어 판교테크노밸리 매출액과 17개 광역자치단체 GRDP 비교
AD


[아시아경제(성남)=이영규 기자] 경기도 성남 판교테크노밸리가 2011년 이후 5년 새 입주기업과 매출액이 무려 15배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판교테크노밸리 입주기업은 1300여곳에 이르고, 이들 기업의 매출 총액은 77조원을 웃돌았다. 이는 부산광역시(78조원), 인천광역시(76조원)의 지역내총생산(GRDP)과 맞먹는 규모다.


8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판교테크노밸리 내 입주기업은 1306개사다. 이들의 매출액은 77조4833억원으로 집계됐다. 입주기업 수는 2015년 말 1121개사에 비해 185개사(16.5%)가 늘었다. 매출액 역시 70조2778억원에서 7조2055억원이 증가했다.

판교테크노밸리 입주 초기인 2011년 83개 기업이 5조원 대 매출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5년 새 매출액과 입주기업이 15배가량 증가한 셈이다.


판교테크노밸리 내 근로자는 2015년 말 7만2820명에서 7만4738명으로 1918명(2.63%)이 증가했다. 이 기간 입주기업의 신규채용 규모는 1만344명으로 집계됐다.


판교테크노밸리 매출 '77조4833억'…부산GRDP 맞먹어 판교테크노밸리


하지만 판교테크노밸리 입주 기업들은 최근 남경필 경기도지사와의 간담회에서 ▲공간 확장 ▲비즈니스 인프라 확충 ▲주거공간 확보 등 애로점 개선책 마련을 제안했다.


강석균 안랩 전무는 지난달 31일 남경필 경기도지사 주재로 진행된 간담회에서 "판교는 임대료와 높은 경쟁률로 신규 진입장벽이 높다"며 "경기도에서 벤처와 스타트업을 위한 공간을 많이 확보해줬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신승영 에이텍티엔 대표는 "판교 인근은 주거비용이 높아 근로자들이 높은 임대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근로자를 위한 주거공간이 가장 절실하다"고 밝혔다.


입주업체들은 이외에도 IT 대기업과 협업할 수 있는 제조 중소기업의 R&D센터 공간 및 판교 방문기업인을 위한 호텔ㆍ모임 등 비즈니스 공간 부족, 판교 내 임직원 또는 가족과 함께할 수 있는 문화 공간 확충 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에 대해 남경필 지사는 "추가적인 기업들의 수요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 판교가 세계적인 혁신 클러스터로 발전할 수 있도록 준비해 나가겠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최대한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2005년 조성된 판교테크노밸리(약 66만㎡)는 현재 44개 필지 중 42개 필지가 준공돼 95%의 완공률을 보이고 있다.


판교테크노밸리 매출 '77조4833억'…부산GRDP 맞먹어 판교테크노밸리 기업수와 규모


도 관계자는 "판교테크노밸리의 지난 10년 동안 성과와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임을 공감하고, 올 하반기에는 세부적인 연구를 추진해 곳곳에서 추진 중인 테크노밸리에 정보를 공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