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옥시, 가습기 살균제 피해 '평생' 지원…정부 주도 관리 필요(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9초

최종 배상안 도출까지 피해자 및 전문가 의견 청취
일시금보다 계속 지원이 낫다는 전문가 의견 수렴
존중ㆍ공정성ㆍ투명성ㆍ신속성 등 원칙 토대로 해
"지속적인 의료 지원 위해 정부 주도 하의 관리 필요"

옥시, 가습기 살균제 피해 '평생' 지원…정부 주도 관리 필요(종합)
AD


[아시아경제 조호윤 기자]옥시레킷벤키저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평생 상환)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최종 배상안을 발표했다. 최종 배상안은 피해자와 가족들의 의견을 수렴해 만들어졌으며, 옥시는 존중, 공정성, 투명성, 신속성 등 4가지 중요 핵심원칙을 지켰다고 설명했다.

옥시는 10일 정부의 3차 피해조사에서 1, 2단계를 판정받은 피해자들에 대한 최종 배상안을 발표하면서 평생 치료비 지급 등 지속 지원을 약속했다.


최종 배상에 따르면 옥시는 1, 2차 조사 피해자 분들께 적용된 배상방안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3차 조사 피해자 분들의 배상액을 산정하고 배상신청을 진행한다. 공정한 배상을 위해 3차 조사 피해자에게도 동일한 수준의 배상액을 지급한다는 방침인 것.

상해 피해자에 대한 향후 치료비 및 관련 비용 배상과 관련해서는 '일시금 지급'과 '평생 상환' 두 가지 방안 중 '평생 상환' 방식을 택했다. 옥시측은 피해자들이 두 가지 방안 중 보다 선호하는 방안에 대한 뚜렷한 합의가 없는 것으로 판단,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최종 배상안 방식을 '지속지원'으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옥시측은 "경륜 있는 의사들 및 전문가 패널과 향후 치료비 및 간병비 배상 방법에 관해 논의한 결과, 만장일치로 피해자 분들의 관점에서 일시금 지급이 부적절하다고 권고했다"며 "이에 배상방안은 향후 치료비 지원 제도를 통해 가습기 살균제 관련 폐 손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 평생 상환하는 방식을 따르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최종 배상안을 발표하면서 옥시는 정부 주도하의 관리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옥시측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에 대한 안정되고 지속적인 향후 의료 지원을 위해서는 정부의 주도하에 향후 치료를 위한 재원마련 및 관리가 이뤄지는 것이 최선"이라며 "피해자들의 향후 치료는 건강보험공단의 의료보험체계 및 건강 모니터링과 같은 관련 조치들과 통합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옥시, 가습기 살균제 피해 '평생' 지원…정부 주도 관리 필요(종합)


정부의 3차 피해조사에서 1, 2단계 판정(2017년 3월 27일까지 발표)을 받은 옥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에 대한 배상안과 배상 절차는 1, 2차 피해조사 1, 2단계 옥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에 대한 배상안과 동일한 원칙과 구성 하에 고안됐다. 1~3차 조사에서 1, 2단계 판정을 받은 모든 옥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가 공정한 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


사망으로 인한 심각한 정신적 충격, 영유아 및 어린이 상해 및 사망, 심각한 폐 손상 등의 특수 상황을 반영해 상해 피해자와 복수의 가습기 살균제 제품 사용 피해자에 대한 평생 치료비를 포함했다.


가습기 살균제 1, 2 단계 (3차 조사, 2017년 3월 27일까지 발표) 피해자를 위한 배상 신청 접수는 10일부터 시작된다. 배상 방안의 세부 내용 및 배상 신청서는 옥시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배상 신청을 하려면 해당 홈페이지에서 배상신청서를 다운 받은 후, 해당 신청서를 이메일, 팩스, 우편으로 송부하면 접수가 진행된다. 배상 신청 방법 및 자세한 사항은 당사 배상지원센터를 통해 상담하면 된다.


옥시레킷벤키저는 지난해 7월31일 1, 2차 조사 1, 2단계 옥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에 대한 배상 방안을 업계 최초로 발표한 바 있다. 올해 6월 기준 해당 피해자 183명 중 99%에 해당하는 피해자가 등록을 마쳤으며, 그 중 89%에 해당하는 피해자가 합의를 완료했다.


박동석 옥시레킷벤키저 대표 이사는 "가습기 살균제로 인해 큰 피해와 고통을 끼쳐드린 점에 대해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사과드리며, 피해자와 가족 분들의 고통을 덜어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향후에는 모든 주체가 참여해 장기적이며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호윤 기자 hod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