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미정상회담 결산]트럼프, 'Free' 단어에 민감한 이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보호무역기조 美, '자유무역' 단어에 부담 느낀 듯
공동성명에서 'free' 단어 삭제 문제로 7시간 지연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이 끝나고 공동성명 발표가 7시간이나 늦어진 건 'free(자유로운)'라는 영어 단어 하나 때문으로 알려졌다.


이번 한미정상회담의 공동성명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공동 언론발표 이후 7시간이 지나서야 배포됐다. 통상 정상회담에 이어 발표하는 공동성명은 양국 정상의 공동 기자회견이나 언론 발표 전에 배포되는 게 관례였다.

청와대 핵심관계자에 따르면 공동성명 발표가 계속 늦어지자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공동성명 문구를 최종 확정하기 위해 허버트 맥매스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급하게 찾았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상회담 직후 트럼프 대통령이 주말골프를 위해 휴가를 출발한 것으로 알려지자 청와대측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공동성명이 취소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등 초조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얼마 후 정 실장과 통화가 된 맥매스터 보좌관은 공동성명의 여섯 항목 중 세 번째인 'Advancing Fair Trade to Promote Economic Growth'(경제성장 촉진을 위한 공정한 무역) 초고에 들어 있던 'free'를 삭제해 줄 수 있는지 물었다고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막판에 'free' 단어의 삭제를 지시함에 따라 백악관 참모들이 이를 논의하는 과정이 길어졌던 것이다. 보호무역기조 정책을 펴고 있는 트럼프 정부가 'free trade(자유무역)'라는 단어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정상회담에선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뿐 아니라 청와대와 백악관에서 외교·안보 분야 실무를 지휘하는 정 실장과 맥매스터 보좌관도 두터운 신뢰를 쌓는 계기가 됐다고 청와대는 보고있다.


정 실장은 지난달 정상회담에 앞서 두 차례나 미국을 찾아 맥매스터 보좌관과 안건 등을 두고 관련 협의를 진행했다. 그 중 한 차례는 극비리에 방미해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논란 등에 교감을 나누면서 논란을 사전에 제거했다.


맥매스터 보좌관이 정 실장에게 '말이 잘 통하는 것 같으니 나중에 따로 만나서이야기를 하자'고 했을 정도로 관계가 발전했다. 청와대는 앞으로 정 실장과 맥매스터 보좌관 사이의 핫라인이 한미 양국의 주요 현안을 해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