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박열'의 이제훈 연기력+변신 방점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박열'의 이제훈 연기력+변신 방점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사진=메가박스㈜플러스엠, '박열' 스틸컷]
AD



이제훈이 악동처럼 보이지만 그 누구보다 냉철한 독립운동가 '박열'로 완벽하게 분했다.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이제훈의 연기 색채가 화려하게 펼쳐지니 다각도에서 '이보다 더 좋은 순 없는 '박열'이다.

이제훈의 연기변신은 '박열' 포스터가 공개됐을 때부터 체감적으로 예고 됐었다. 익살스러운 그의 표정이 무슨 일을 저지를지 모르는 일본 내각의 골치덩어리 '박열'을 그대로 표현해주고 있었기 때문.


포스터로 비주얼 변신에 성공했다면 연기력은 어땠을까. 앞서 공개된 언론배급시사회에서 이제훈은 지금까지 보여줬던 신사적이고 댄디한 이미지를 전부 지워냈다. 단 한번도 본 적 없는 강렬하면서도 인상 깊은 모습이었다.

남루하면서도 지저분한 옷차림으로 제국주의로 뒤덮힌 일본에서 그 누구보다 당당하다. 두드려 맞아도 할 말은 다 하는 '박열'의 오프닝 신은 향후 '박열'의 성격을 맛보기로 보여주는데, 영화가 흘러갈 수록 '박열'의 굳센 사상과 대사가 더해지면서 결국 이제훈은 영화 속 '박열'로 스민다.


이준익 감독은 대사 하나도 고증에 충실하기 위해 허투루 쓰지 않았다. 대사가 곧 '박열'의 사실적인 외침이 되니, 이제훈은 '박열'이 되고, '박열' 역시 이제훈으로 보인다.


동경에서 일어났던 관동대지진 이후의 박열 행보를 그려낸만큼 이제훈은 일본어도 자유자재로 구사했다. 짧은 준비 기간이지만 고도의 집중력을 발휘해 일본어를 공부했다. 뿐만 아니라 옥에 갇힌 뒤 단식 하는 장면에서는 시름시름 앓아가는 '박열'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짐작할 수 있도록, 실제 단식을 감행했다. 이제훈의 노력이 뒷받침 돼 완성된 장면들이다.


이제훈은 왜 이렇게 '박열'에 공을 들였을까. '박열'이라는 독립운동가를 알게 되면서 제 나름대로 사명감을 느꼈다고. 자신도 몰랐던 '박열'의 생을, 영화로나마 전달해 관객들과 함께 공감하고 싶었다. 이에 그는 더하지도 덜하지도 않은 '박열'스러운 연기를 해야 했다. '박열'을 역사 속에서 마주했기에 그의 고민을 더욱 깊어졌다.


부지런히 고민한 결과가 이제훈의 필모그래피의 방점을 찍을 수 있을지 기대가 모아진다. 오늘(28일) 개봉하는 '박열' 뚜껑은 열어봐야 알겠지만 그의 수고스러움은 헛되지 않았음을 관람한 관객들이라면 충분히 느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경제 티잼 유지윤 기자 yoozi44@gmail.co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