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우건설 컨소시엄, 탄소자원화 파일럿플랜트 본격 가동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하루 40t 규모…이산화탄소 포집 후 건설재료로 활용

대우건설 컨소시엄, 탄소자원화 파일럿플랜트 본격 가동 탄소자원화 파일럿플랜트 전경
AD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대우건설은 한국남동발전, 극동이씨티 등 6개 참여기관과 연구컨소시엄을 구성해 탄소자원화 상용화기술을 확보하는 데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대우건설 연구컨소시엄은 이날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영흥발전본부에 설치된 국내 최대 규모의 탄소자원화 파일럿플랜트 준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시험 가동에 들어가기로 했다.


이 파일럿플랜트는 하루 40t 규모의 이산화탄소를 처리할 수 있다. 연간 300일을 가동할 경우 1만2000t의 이산화탄소를 처리, 연간 2억4000만원의 탄소배출권과 3만4000t의 건설소재를 생산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 플랜트는 2015년 대우건설 연구컨소시엄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국책 과제인 '이산화탄소 포집 및 건설소재 활용' 연구협약을 체결한 후 추진됐다. 그동안 배출가스 내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원유를 채굴한 지하의 빈 공간에 저장·처리(CCC기술)해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질 구조 상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대량 저장하기 쉽지 않았다.

대우건설 컨소시엄, 탄소자원화 파일럿플랜트 본격 가동 이산화탄소 포집기술 개념도


대우건설 연구컨소시엄이 개발한 기술은 CCU 방식으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화학반응을 통해 안정된 고체형태(탄산칼슘)로 전환하고 이를 블록, 도로강화지반, 지하공동구 채움재료 등 건설소재로 활용한다. 배출가스 정화용 탈황제, 탈염제 등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건설소재로 활용된 이산화탄소 포집물은 1000년 이상 안전한 상태로 영구저장이 가능해 기존 CCS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받는다"며 "발전 배출가스가 파일럿플랜트 공정을 통과하면서 미세먼지 저감 효과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대우건설 연구컨소시엄은 이번에 준공된 파일럿플랜트를 통해 오는 2019년까지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토목·건축 소재로 활용하는 기술 상용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탄소자원화 기술을 앞세워 미래 신 시장을 개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장부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배출전망치(BAU) 대치 37%로 최종 확정한 상태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지난해 파리기후협약이 발효되면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탄소자원화 기술이 미래 먹을거리로 부상하고 있다"며 "이번 파일럿플랜트 운용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와 경험이 미래 시장을 선도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