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매체를 보는 60가지 새로운 방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대구미술관 ‘매체연구 긴장과 이완’ 展
권오상, 정희승 등 여덟 작가 60점 소개

매체를 보는 60가지 새로운 방법 권오상, Relief 12, 2016, Print on wood, Varnish, 126x160x5.4cm(위)/ 백승우, Utopia #032, 2011, Digital print, 219x38x(11)cm, 219x48x(2)cm
AD


[아시아경제 김세영 기자] 대구미술관은 6일부터 9월 10일까지 ‘매체연구-긴장과 이완’ 전을 연다.

대구미술관은 오늘날 매체의 현재와 그 양상을 살펴보고, 현대미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전시는 권오상, 박정혜, 백승우, 백현진, 안지산, 정희승, 조재영, 최성록 등 여덟 명의 작가가 참여해 매체에 관한 탐구·제작한 작품 60점을 공개한다. 전시는 대구미술관 2, 3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다.


‘매체연구’는 ‘변형과 구축’, ‘침잠과 탐구’, ‘변주와 놀이’ 세 개 부분으로 나눠 매체를 다루는 다양한 방식을 살펴본다.

먼저 ‘변형과 구축’은 회화, 사진, 조각 등 매체가 가진 전통적 속성에서 벗어나 그 특성을 변형하고 새롭게 구축한 작가 권오상, 백승우, 조재영의 작업을 보여준다. 권오상은 사진을 이용한 가벼운 조각을 제작하는 등 조각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지속했다. ‘릴리프(Relief)’ 시리즈는 잡지에서 발췌한 이미지를 확대해 제작한 것으로 평면적 부피감을 보여준다.


매체를 보는 60가지 새로운 방법 정희승_Untitled, 2014, Archival pigment print, 156x225cm(왼쪽) / 백현진, 붉은 끼, 2015, Oil, colored pencil on canvas, 180 x 150cm



‘침잠과 탐구’에서는 이미지 안팎에서 매체의 특성을 깊숙하게 파고드는 박정혜, 안지산, 정희승 작업을 소개한다. 정희승은 기계적인 이미지로 인물의 내면을 표현해왔다. 사진 표면에 드러나지 않는 잠재적 상황과 이미지 배후에 감춰진 존재에 주목한다. 사진의 객관성에서 벗어나 가능성으로서의 사진을 모색한다.


‘변주와 놀이’에서는 매체의 요소들을 조합하고 유희하는 백현진, 최성록의 작업을 보여준다. 백현진의 회화는 무심하거나 즉흥적인 행위의 결과물이다. 재현이 아닌 경험이나 오감을 통해 지각개념을 시각화한다. 화가이자, 가수, 배우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작가는 12일 오후 5시 전시 개막식에서 ‘청소와 통곡’ 퍼포먼스를 보여줄 예정이다.


전시를 기획한 최지아 큐레이터는 “이 시대에 매체의 현대성과 그 양상을 확인하며 오늘의 현대미술을 진단하고자 기획됐다”면서 “회화, 조각, 설치, 사진, 미디어아트 등 총 60점의 작품들을 통해 매체에 대한 작가들의 새로운 인식과 접근을 살펴보고자 했다”고 전했다.




김세영 기자 ksy123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